초등학생들이 읽기 좋은 창작 동화라 3.1운동 관련하여 아이에게 읽어주면 좋겠다고 여겨진다.시대는 3.1운동이 일어나던 일제 치하의 조선으로 주인공 명일이는 목수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얼마 안되고 눈이 먼 어머니를 부양해야하는 열두살 소년이다. 아버지가 만들었던 그릇이며 국자 들을 들고 장에 나가 팔았지만 옹이가 있다며 사는 이가 없었다. 그에게 야학 선생님이 망태꾼 일을 해보라고 권한다. 빈병이나 종이 등 쓸만한 걸 주우러 다니는게 일인데 쓰레기를 줍는다고 업신 여김을 당하기도 한다.손재주가 좋은 아이는 옹이 박힌 나무로 꽃을 만들었는데 그걸 사간 앵무 누나와 알게 된다. 그리고 망태꾼 일을 하는 걸 도와준 책을 읽는 망태꾼 장대아저씨와 둘이 아는 사이란 걸 알게된다. 손재주 좋은 아이에게 앵무 누나는 태극기를 목판에 새겨달라고 한다. 눈먼 어머니를 모시는 어린 소년은 두렵기도 하지만 자신에게 잘해준 이들에게 신뢰를 지켜야 한다는 어머니의 조언에 태극기를 새긴다. 그리고 만세 운동에서 소중한 장대 아저씨와 앵무 누나가 목숨을 잃자 태극기를 흔들고 잡혔다가 풀려나 태극기를 찍어낼 수 있는 목판을 소중히 간직한다.일제강점기라는 시대의 배경 그리고 그 안에서 가난하지만 서로를 위하며 살아가는 이웃들의 정을 느낄 수 있었다. 이제는 사라진 직업이나 삶의 풍경이 옛말 속에 녹아 자연스럽게 알게되었다. 아이의 시점으로 보게 되는 보통 사람들의 피의 희생이 지금의 독립된 나라를 세운 토대가 되어가는 과정이 담겨있다.===========================희망의 꽃“나무로 된 꽃이 아니라 옹이가 꽃으로 된 거 좋아해요.”“오호, 이건 희망의 꽃이로구나!” “옹이는 나무의 상처가 아문 흔적, 즉 흉터다. 옹이가 꽃이 되었다는 건 상처가 많은 사람에겐 희망이지. 게다가 나무로 된 꽃이니 지지도 않을테고.”67쪽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