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0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10월
평점 :
“가짜 뉴스입니다. 사실이 아닙니다.”
가짜 뉴스가 판을 치는 세상이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예전에는 신문사만이 만들 수 있었던 기사를 컴퓨터로 그럴싸하게 누구든 만들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사건이나 사고, 인물 등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진실과 실체를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인간이 지닌 제한된 합리성을 보완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장점 보다는 단점이 이용되어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권력과 유착하여 사리사욕을 채우는 기존의 거대 언론사들이 저지르던, 이른바 황색언론의 행태를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 뉴스가 보도되면 가짜 뉴스다, 아니다를 두고 싸운다. 그러다 보니 팩트 체크라는 새로운 뉴스 꼭지가 생겼다. 사실확인은 뉴스를 만들기 전에 필히 거쳐야 하는 과정인데도 말이다.
이러한 작태가 한국에서만 일어나는 특별한 일이 아닌가보다. 전 세계적으로 가짜 뉴스는 세상을 어지럽게 만드는가보다. 움베르트 에코의 <제0호>는 이탈리아 황색언론의 작태를 가볍지만 신랄하게 풍자하는 소설이다. 몇몇 언론의 서평에서 가혹한 비난을 받았다는 것을 보면 이 소설이 정곡을 찌른 것이리라.
콤멘다토레라는 이탈리아의 재력가는 신문을 하나 창간하려고 한다. 신문을 창간하여 금융계와 은행계의 거물들이 불편해 할 기사를 준비한 다음 발간하지 않는 조건으로 그들의 성역에 진입하려는 속셈을 가지고 있다. 신문 창간의 주필을 맡은 시메이는 기자들을 모으고 주인공 콜론나에게 거래를 제안한다. 신문을 창간하면서 겪은 경험을 책으로 써달라는 것이다. 시메이는 콤멘다토레에게 어떤 협상을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자 대필 작가인 콜론나를 창간 멤버에 넣은 것이다.
시메이가 뽑은 여섯 명의 기자는 3류 언론에서 활동하던 이들이다. 가십 기사, 스캔들 기사를 썼고 이름 모를 출판사에서 일했거나 교열기자로 일했던 이들이다. 신문의 이름은 <도마니>, 내일이라는 뜻인데 지난 사건을 보도하지 않고 내일 있을 일을 보도한다는 엉뚱한 발상이지만 나름 신선하다. 시메이는 이들과 브레인스토밍을 하며 창간호를 준비한다. 그는 언론이 사실을 왜곡하고 권력가나 재력가, 특히 언론 사주의 입맛에 맞게 기사를 편집하는 방법을 기자들에게 설명한다. 언론을 제3의 권력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권력을 사리사욕에 이용하여 사실을 왜곡해온 언론은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소설 속에서 나오는 그러한 사실왜곡 수법에 하도 많이 당한 독자들은 기사를 믿고 안 믿고를 떠나 아예 읽지 않는 지경에까지 이른 것이다.
창간 전에 제0호라는 제호로 도마니가 어떤 신문인가를 보여주려 한다. 한창 준비를 하던 중에 브라가도초는 콜론나에게 자신이 낚은 특종을 설명한다. 무솔리니의 죽음에 관한 기사다. 그가 죽지 않았고 그 배후에는 CIA, 정치가, 테러리스트, 마피아, 프리메이슨, 교황청이 연루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이 기사가 대박을 터트릴 것이라 생각한다. 여차하면 도마니가 아니 다른 언론사에 팔 생각까지 한다. 그는 콜론나에게 이 모든 것을 시시콜콜 다 이야기 한다. 창간 준비가 한창이던 중 그가 갑자기 살해된다. 그리고 콤멘다토레는 도미나의 창간을 없던 일로 하고 기자들에게 두어 달 치 월급을 준다. 그리고 BBC에서 브라가도초가 취재하던 기사와 비슷한 르포가 방영된다. 콜론나는 브라가도초의 기사 준비를 잘 알고 있는 자신도 살해당할지 모른다는 공포를 느끼게 된다.
<제0호>에서는 언론에 대한 풍자와 함께 젠더 폭력의 한 일면을 보여준다. 여성을 동등한 인격으로 인정하지 않는 고정관념을 보여준다. 창간 준비팀에서 유일한 여기자였던 마이아는 기발하고 신선한 제안을 하지만 시메이 주필은 무시해버린다. 그리고 낮말 맞추기 기사를 준비하라고 지시한다. 심지어 그녀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여긴다. 콜론나는 마이아에게 매력을 느끼고 연인사이로 발전하지만 그 또한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있다. 그녀를 도와준다는 생각은 이미 차별하고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아이러니하게도 콜론나는 보복의 두려움에 거의 공황상태에 빠지고 이런 그를 정신적으로 지탱해주는 사람은 마이아였다.
세계의 언론은 위기에 봉착했지만 이 위기는 새롭게 변화해야할 시점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황색언론은 그 동안 잘 이용되어왔다. 언론의 소비자인 독자들이 잘 속아주었다. 편집 술수, 사실 왜곡이 제법 작동하여 권력가와 재력가에게 도움을 주어왔다. 지금은 아니다. 신뢰를 잃었고 사람들은 신문이나 보도를 아예 쳐다보지도 않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몇몇 메이저 언론은 자신들이 아직도 제3의 권력이라고 여기고 있는 성싶다.
전 세계가 황색언론의 청산과 새로운 저널리즘의 신뢰를 회복하고자 애쓰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언론은 한 발짝 더 나아가고 있다. 진실을 보도하고 건강한 저널리즘을 추구한 케이블 방송의 뉴스가 최고 권력자를 탄핵하는 밑절미가 되었다. 권력은 한 방송사를 황색언론으로 만들고 했으나 그에 저항한 기자들과 시민들은 몹쓸 권력을 몰아내고 원래의 건강한 방송사로 변화하고 있다.
“신문이나 방송이나 다 똑같아 믿을 게 없어. 다 지들 꿍꿍이 속이나 채우려는 것이야.”
라는 비관적이고 절망적인 말에 반론을 제기할 수 없던 상황에서 따스한 햇살이 비치고 있다. 건강한 저널리즘으로 무장한 언론은 신뢰를 회복할 것이고 이는 사회의 구성원들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언론에 종사하는 사람, 언론에 일하는 것을 지망하는 사람, 그리고 언론을 신뢰하고 싶은 사람에게 움베르토 에코의 <제0호>는 읽어볼 만한 읽기 쉬운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