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하루 세 끼를 남이 해주는 밥을 먹었다. 특식 비슷한 음식이 나오기도 했지만 병원 밥은 대체로 그저 그랬다. 간호하는 이의 마음을 잘 알기에 나는 아주 열심히 밥을 먹었다. 눈을 뜨자마자 세수도 하지 않고 밥 한 공기를 다 먹었고 간식을 성실하게 먹었다. 나를 보러 오는 친구들은 먹고 싶은 게 뭐냐고 물었다. 뜻밖에도 내 입에서 나온 소리는 오징어튀김이었다. 물론 오징어튀김을 사 오는 친구는 없었고 입원해 있는 동안 오징어튀김은 못 먹었다. 퇴원 후에도 오징어튀김은 못 먹었다. 가장 먹고 싶었던 건 낙지볶음과 라면이었다. 매운 낙지볶음은 먹었고 라면은 퇴원 후에 먹을 수 있었다. 퇴원 후 약을 먹어야 한다는 이유로 하루 세 번의 끼니를 거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3주가 지난 지금 먹는다는 것에 대해 회의가 느껴진다. 어린 조카가 해주는 밥을 먹는 게 미안해지기도 했고 구내염을 핑계로 그저 반찬을 생략하고 밥과 김만 먹기도 하고 밥과 물 김치를 먹기도 하고 구운 고구마나 딸기 한 팩을 비우기도 한다. 음식을 씹고 삼키는 일이 고통스러운 일상이 될 줄은 몰랐다. 복에 겨운 소리다. 통증에 익숙해진 탓이다. 고열에 대한 두려움과 많이 좋아졌다고 자만한 탓이다. 그런데도 아침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할 때 무언가를 먹어야 한다는 게 두렵기도 하다.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건 요리를 하는 것이다. 누군가를 위해 쌀을 씻고 밥을 하고 반찬을 만드는 게 아니라 내 허기를 채우기 위해 멸치 육수를 내고 된장을 풀었다. 두 달 전에는 익숙했던 일상이 낯설게 느껴진다. 냉동실에서 발견한 우렁이랑 양파만 넣고 국인지 찌개인지 모호한 요리를 했다. 맛은 없었다. 식은 밥에 뜨거운 국물을 부어 마시듯 먹었다.

 

 입맛을 찾기 위해 먹고 싶은 음식을 떠올리며 냉장고를 채운다. 쉽게 끓일 수 있는 어묵탕,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만두, 한동안 찾지 않았던 인스타트 커피, 바나나 한 덩어리. 식재료를 곁에 두었지만 지금 가장 생각나는 건 짬뽕이다. 오징어, 홍합, 바지락과 양파로 채워진 매콤한 국물과 함께 올라오는 면발. 하필이면 나는 이런 책을 읽으며 맛을 상상한다. 작고 소박한 식탁이 주는 맛의 기쁨을 고스란히 전달하는 책이다.

 

 

 짬뽕은 국물을 끓이는 게 아니라 볶는 것이다. 그게 불맛의 근원이다. 가정에서 그 맛을 내기는 어렵다. 그래도 직접 해먹는 맛은 또 다르다. 언젠가 짬뽕 전문점을 하는 분에게 여쭈어 보았더니 맛의 비결은 무엇보다도 고춧가루라고 한다. 매운맛을 내되 지나치면 안 된다. 매운맛은 통각을 자극하고 다른 맛을 잊게 한다. 그러니 각종 음식재료의 맛과 잘 어울리기도 하기 위해서는 고춧가루를 잘 사용해야 한다 칼칼하면서도 여러 맛을 놓치지 않고 느낄 수 있게 국물을 만들어야 한다. 여러 번 다른 고춧가루를 사용해보고 나서야 제대로 된 맛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66쪽)

 

 제대로 된 고춧가루와 제대로 된 불맛이 만나 진짜 짬뽕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제대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맛있는 짬뽕을 먹겠다는 요리사의 의지는 꼭 필요한 양념이다. 나는 저자처럼 집에서 짬뽕을 만들 수 없다. 그저 입안의 상처가 빨리 나아 맛있는 불맛을 담아 배달된 짬뽕을 먹을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만을 기다릴 뿐이다. 집밥 백선생이 추천하는 요리책을 이곳에도 두워야 할까.

 

 

 이 공간에는 세 개의 식탁이 존재한다. 주방에 붙어 있는 식탁, 창문 가까이에 놓인 4인용 식탁, 조카가 책상 대신으로 사용하는 6인용 식탁. 이곳에서 혼자 밥을 먹을 때마다 윤고은의 단편집 『1인용 식탁』이 생각난다. 바쁜 조카와 식탁을 공유하는 횟수는 점점 줄어든다. 먹는다는 것에 부여하는 의미도 다르다. 음식물 쓰레기를 대하는 태도도 다르다. 같은 음식을 먹는 행위도 다르다. 조카는 사과를 껍질째 먹고 차가운 보리차를 시원하게 마신다. 잡곡밥을 할 때도 밥솥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그냥 백미로 한다. 나는 사용 설명서 대로 하는 편이고 냉장고에서 꺼낸 보리차를 데워 마신다. 조카와 나의 1인용 식탁은 이토록 다르다.

 

 맛의 근원은 간절함과 닿아 았다. 맛의 추억은 그리움과 닿아 있다. ​집밥이라는 키워드가 일상을 사로잡는 이유도 그렇다. 요리를 잘 하고 싶은 욕망도 말이다.맛있는 음식을 생각하면 저절로 좋은 재료를 넣어 만든 비싼 최고의 요리가 아니라 가족을 먹이기 위해, 좋은 사람과 함께 먹기 위해 위험하고 뜨거운 불앞에서 오랜 시간 마음을 졸이며 요리를 하는 누군가의 뒷모습이 겹쳐지기 때문이다. 혼자 먹는 식탁이 익숙하지만 머리를 맞대고 개인 접시가 존재하지 않았던 어린 시절의 그 밥상을 받고 싶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6-01-25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목련님, 쉬면서 잘 드시고 잘 일어나시기 바라요. 먹는다는 것, 엄정한 일인 것 같아요. 입병이 나면 먹는다는 게 얼마나 고통스러운 일인지 알지요.

자목련 2016-02-04 10:43   좋아요 0 | URL
입병이 나니 먹는다는 일이 감사하고 숭고한 것이구나 생각했어요. 입춘이에요, 그곳엔 봄이 더 가까이 왔나요?

사과나비🍎 2016-01-26 0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목련님~ 앞으로도 드시는 거 꼭 챙겨서 잘 드셔야 해요~

자목련 2016-02-04 10:43   좋아요 1 | URL
네, 열심히 챙겨 먹고 있어요. 사과나비 님 고맙습니다. 이르지만 명절 잘 보내세요^^

사과나비🍎 2016-02-04 13:39   좋아요 0 | URL
^^* 비록 북플로 알게 된 분이지만, 아프시다기에 글을 남기게 되더라구요~ 잘 드시고 계신다니 다행이네요~^^* 자목련님도 명절 잘 보내시길 바랄게요~^^*

조선인 2016-01-26 0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사히 퇴원하시고 조금씩 회복중이신가봐요. 쾌유를 기원합니다.

자목련 2016-02-04 10:44   좋아요 0 | URL
퇴원 후 게으르고 게으른 날들을 보내고 있어요, ㅎ
조선인 님은 아프지 마시고 건강하세요!!

책읽는나무 2016-01-26 11: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프셨군요?
얼른 나으셔야죠^^
구내염은~~~우리집 아이들도 번갈아 가며 자주 생기느라 음식을 삼키지 못해 괴로워하는 심정을 알아요
그래도 옆에 있는 사람으로선 먹어야 낫지~~~~모질게 재촉을 하게 되구요ㅜ
따스한 기운이 감돌면 걷기라도 하여 체력단련을 해요! 우리^^

자목련 2016-02-04 10:45   좋아요 0 | URL
많이 좋아졌어요. 감사해요. 건강이 제일인데 매번 놓치고 나서야 다짐을 하네요, ㅎ
입춘이니 곧 따뜻한 날들이 시작되겠지 싶어요. 달콤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