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본 것 - 나는 유해 게시물 삭제자입니다
하나 베르부츠 지음, 유수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7월
평점 :
블로그 댓글 가운데 광고는 삭제한다. 스팸 차단 키워드를 이용해 관리한다. 불특정 다수가 읽지 않기를 바라는 글은 이웃 공개나 비공개로 올린다. 운영자니까 내 블로그라서 가능하다. 내가 정한 기준이다. 누구나 볼 수 있는 공간의 게시물의 유해성 판단은 누가 하는 것일까. 어떤 기준으로 영상이나 이미지를 삭제하는 것일까. 하나 베르부츠의 소설 『우리가 본 것 : 나는 유해 게시물 삭제자입니다』를 읽기 전까지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인 만큼 다양한 게시물이 올라올 것이고 나쁜 의도를 가진 이도 있을 터. 누구나 볼 수 있으니 혐오나 공포를 조장하는 것들은 제재를 가하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주어진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이미지나 게시물을 삭제하는 일의 어려움이나 트라우마는 생각한 적이 없다.
AI의 기술로 유해 이미지를 자동 삭제한다는 글을 읽은 적은 있다. 그러나 삭제할 대상이나 이미지를 일일이 입력하는 건 사람이 해야 한다고 기억하는데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일도 같은 맥락이 아닐까 싶다. 좋은 것도 반복해서 보면 질리고 감흥이 없는데 매일같이 유해한 것들을 보고 삭제 여부를 검토하는 일은 얼마나 힘들까. 누군가 보수가 높으니 그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고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직접 해보지 않은 일에 대해 함부로 판단할 수 없다.
소설은 대기업 하청업체 ‘헥사’에서 콘텐츠 감수사였던 케일리가 자신에게 일어난 일을 들려주는 이야기다. 인터뷰 형식이라 다큐멘터리를 시청하는 기분이다. 그녀는 누구의 질문에 답하는 것일까. 얼핏 사회고발 프로그램의 PD가 아닐까 싶지만 변호사다. 헥사에서 일한 동료들이 기업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진행하고 케일리도 동참하기를 바란다. 케일리는 동참할 생각이 없다. 그녀에겐 그저 직장일 뿐이니까. 집단소송이 이슈화되면서 사람들은 케일리에게 그곳에서 무엇을 봤냐고 묻는다. 가장 최악이 무엇이냐고 답을 기다린다. 호기심과 관음증을 바탕으로 한 무례한 질문이다. 그러나 만약 나라면 그 궁금증을 피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
케일리는 업무가 끝나면 그것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아니 그랬다고 여겼던 건 아닐까. 케일리에겐 동료가 있었고 헥사에서 새로운 연인도 만났다. 아름다운 ‘시흐리트’를 만난 이 직장이 유해할리 없다. 그러나 업무 환경은 시흐리트에겐 트라우마가 되었다. 시흐리트는 자신의 정신건강을 위한 먹거리를 주문하고 보호하려 애쓴다. 휴가를 내기도 한다. 케일리가 특별한 사람일까. 그건 아닐 것이다. 영리한 작가는 케일리를 통해 독자가 판단하기를 원할 뿐이다.
무엇보다도 이 새로운 동료들은 내가 낮 동안 무얼 봤는지 아는 유일한 사람들이었죠. 우리는 많은 얘기를 나누지 않아도 그런 게시물이 어떤 느낌이고 의미인지 알 수 있었어요. 근무 시간에는 주로 무엇을 내리고 올릴 건지 얘기를 나눴어요. 이따금 누군가 “야, 지금 진짜 지랄 같은 걸 봤어”라고 말하면 나머지 우리는 그냥 고개를 끄덕이고 말았죠. 잠시나마 홀로 내버려둬야 한다는 걸 모두 알고 있었으니까요. (52쪽)
소설을 읽으면서 혼란스러웠다. 왜냐하면 나는 구독하는 유튜브가 없고 숏폼이나 릴스 같은 영상을 찾아보지 않지만 잔인하고 영화나 드라마에서 잔인하고 혐오스러운 영상을 볼 때가 더 많다. OTT에서 보는 드라마나 영화는 갈수록 폭력성은 강하고 노출은 심하고 과도하다. 그곳의 심의는 누가 하는 것일까. 결제를 했으니 그곳에서 유해한 게시물은 없는 것일까. 오직 나의 판단과 기준만 남은 것인가.
내가 헥사에서 일하는 노동자라면 케일리처럼 견딜 수 없을 것 같다. 일하는 동안 휴대폰을 지참할 수 없고 유선전화조차 없는 환경에서 정해진 클립을 다 확인해야 하는 업무.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영상을 보면서도 영상에서 누군가 죽음의 위기에 놓여있어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실. 퇴사를 결정한 동료의 말이 소설의 핵심이 아닐까.
“그냥 더 이상 인간 같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뿐이야.” (127쪽)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문제라는 걸 인식하지만 소설 속 헥사처럼 음지의 영역에서 또 다른 피해자를 낳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많은 이들이 이 소설을 읽었으면 좋겠다. 짧은 분량으로 많은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다. 지금도 끊임없이 게시물과 동영상이 업로드된다. 누군가 유해하다고 여긴 게시물은 누군가 무해하다고 판단하여 삭제 대상이 아닐 수 있다. 나는 그런 게시물 게시자가 아닌가, 유포자는 아닐까. 지금 내가 클릭한 이 게시물은 유해한가, 아니면 무해한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가 공포로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