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조 혜능 평전
이은윤 지음 / 동아시아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저자의 저널리스트로서의 이력과는 달리 혜능(638-713)의 선법과 학문적인 논쟁 지점들을 [단경]을 중심으로 비교적 자세하게,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음. 상당한 기간의 독학이 엿보임. 6부 혜능과 모택동의 경우 새롭고 유익한 정보를 주고 있음. 혜능선을 "혁명적 평민 불교"라고 규정하는 대목(2부 혜능의 민중사상)은 상당한 쟁점을 내포하고 있음. 임계유의 [중국수당불교비판]에서는 혜능선의 이러한 성격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당시의 신흥 사대부 부르주아 세력들에게 결국 이용당했다고 서술하고 있음. 혜능연보와 관련 사진들 그리고 선종계보, 연구 자료 서지들이 함께 수록되어 교육적 가치가 있음.
주요 개념들: 남종돈교최상대승마하반야바라밀경육조혜능대사어소주대범사시법단경, 불성무남북(불이법문), 황매득법, 불성상청정(본래무일물), 본래면목, 가불매조, 풍번문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