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 편 가르기 시대 휘둘리지 않는 유권자를 위한 정당정치 안내서
에즈라 클라인 지음, 황성연 옮김 / 윌북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50년으로 돌아가보자. ,............이 논문은 정당들이 너무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너무 쉽게 협력하기 때문에 유권자들이 누구에게, 왜 투표해야 할지 몰라 혼란스러워한다고 한탄했다. 또한 “정당에 그들만의 강령이 없는 한, 대중은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없다”라고 경고했다.2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rAzDPjaEqt7GWou19


1950년의 문제는 미국의 두 주요 정당이 유권자들의 의도를 존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1954년 진보 성향의 민주당 상원 후보 휴버트 험프리를 지지했던 한 미네소타주 출신 민주당 의원은 당시 상원에서 가장 보수적이었던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상원의원 스트롬 서먼드가 포함된 그룹을 지지하기도 했다. 정당들은 선택권을 제공하기보다는 허튼소리가 든 보따리를 내놓고 있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AN1opzYweaAkkH698

˝.......전국 단위 당 조직과 주 단위 당 조직은 대부분 서로 독립적이며, 정당 정책과 전략에 있어 이렇다 할 공통점 없이 각자의 영역에서만 운영되고 있다”라고 불평했다. 미국 의회에는 다수의 공화당 의원보다 더 보수적인 민주당 의원들과 가장 좌파적인 민주당 의원만큼 진보적인 공화당 의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들은 유권자들이 정치에 영향을 미칠 가장 귀중한 기회를 빼앗고 있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xZu7EXcWA7QjwsLb9

정당들 사이의 모호함은 꽤 오래 이어졌다. 스탠퍼드대학교의 정치학자인 모리스 피오리나Morris Fiorina는 제럴드 포드가 지미 카터에 맞섰을 때 유권자 54%만이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보수적이라고 생각했다고 지적한다. 거의 30%는 두 정당 사이에 이념적 차이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10 민주당과 공화당 사이의 이념적 차이가 이처럼 희박했던 세상에서 정당 정체성이 얼마나 허약했을지를 상상해보라.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51gjUx2vESWgSGLR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 편 가르기 시대 휘둘리지 않는 유권자를 위한 정당정치 안내서
에즈라 클라인 지음, 황성연 옮김 / 윌북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린턴이 『무슨 일이 있었나』를 쓴 것도 바로 이 굴욕감 때문이었다. 클린턴은 어떻게 트럼프의 승리가 가능했는지 설명하려고 했다. 클린턴은 면죄부를 찾으려 했지만, 명확한 답은 없고 혼란스러움은 가시질 않는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dmULgYiLFrVGRwhL7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제대로 된 질문이 아니라 쉬운 질문을 던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트럼프가 어떻게 이겼는지를 묻는 대신 트럼프가 어떻게 승리에 가까이 다가갔는지를 물어야 한다. 애초에 트럼프와 같은, 자신이 대표하는 정당을 멸시하고 자신이 앉고자 하는 직책과는 어울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 후보가 어떻게 해서 대통령을 뽑는 중요한 선거에서 수천 표 이상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일까?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z2hURrFki2mMjDt16

숫자로만 보면 2016년 대선은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의 전형적인 경쟁이었다.

유권자들이 트럼프를 다른 공화당 후보처럼 대했다는 사실은 정당 양극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준다. 극심한 양극화는 2016년 선거를 2012년 롬니와 오바마 사이의 경쟁이나 2004년 케리와 부시 사이의 경쟁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정치적 정체성이 너무 강해서 사실상 마음을 바꿀 만한 어떤 후보도, 정보도, 조건도 없었던 셈이다. 우리는 우리 편에게 도움이 된다면 그게 뭐가 됐든 거의 모든 것을 정당화할 것이고, 그 결과는 기준, 신념, 책임감 없는 정치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aT24xgnt2jYNzBEp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심정 충분히 이해한다
- 내가 윤석열이 당선되었을 때 하던 행동


2018년 3월, 《뉴욕 타임스》 는 내가 지금도 종종 생각하는 기사를 실었다. “너무 조금 알았던 남자The Man Who Knew Too Little”라는 제목의 이 기사는 에릭 헤이거먼Erik Hagerman이 선거 이후 만들어낸 기이한 세계에 관한 것이다. 선거 결과에 크게 실망한 헤이거먼은 트럼프에 대해 더는 아무 소식도 듣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엄격하고 완벽하게 차단하고 싶었습니다. 트럼프를 멀리하거나 대화 주제로 나오면 피하고 싶은 정도가 아니었습니다. 제가 마치 트럼프라는 티끌만 한 빛이 들이치기라도 하면 죽어버리는 흡혈귀가 된 것 같았습니다.” 7

그래서 그는 자신을 보호할 방어막을 만들기 시작했다. 한때 나이키 간부였던 그는 현재 오하이오주 남동부에 있는 돼지 농장에서 혼자 살고 있다. 커피숍에 갈 때는 녹음해둔 백색소음을 듣는다. 정치에 대해 언급하는 친구들과는 결별했다. 뉴스나 소셜미디어를 절대 보지 않는다. 상점에 갈 일이 있으면 시사 관련 이야기를 우연히라도 듣지 않기 위해 아침 일찍 간다. 그가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형제를 방문했을 때 “엄격한 준비가 필요했다. 신문은 눈에 띄지 않아야 했고, TV는 꺼둬야 했으며, 10대 조카들은 특별 지시를 받아야 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PihR5oNZ7yPqSrFE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에도 도입을 고민할 방안
- 당파적 대법관(헌재재판관)과 중립적 인사들


엡스와 시타라만은 대법원을 재건해 15명의 대법관을 제안했다. 이 제안에 따르면, 각 정당은 5명을 임명하고, 10명의 당파적 대법관은 만장일치로 나머지 5명을 임명한다. 그리고 15명 모두가 합의에 따라 확정될 때까지 법원은 사건을 심리할 수 없다.

이 시스템에는 몇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정치와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도록 의도된 기관의 철저히 정치화한 갈등을 진정시킬 수 있다. 둘째, 이것은 극도로 당파적이지 않고 이념적으로 당파적이지 않은 후보자들(이쯤이면 당신은 자격이 없다)이 대법원에서 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이론적으로 보면, 양측은 대법원을 동등하게 대표한다고 느낄 것이고, 최근 몇 년간의 전면전은 완화할 것이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xytg743kdg9NMxvS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론 이러한 모든 개혁은 사람들이 실제로 투표할 수 있어야 작동한다. 자동 유권자 등록과 오리건주의 우편 투표 시스템과 같이 투표를 쉽게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세부 사항보다 중요한 것은 투표가 쉬워야 한다는 단순한 원칙이다. 투표하기가 어려워질수록 확실해지는 것은, 가장 양극화한 사람들만 투표장에 나타날 거라는 사실이다.

공화당은 선거권 확대를 공화당을 약화하려는 음모로 보고 있는데, 민주주의가 당파적 문제가 된 것은 재앙과도 같은 일이다. 더 민주적인 미국이 더 민주당적인 미국이 될 가능성이 있지만, 더 다양한 유권자를 두고 경쟁해야 하는 공화당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스스로를 개혁할 가능성 역시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지사는 민주당 우세 주를 이끄는 온건한 공화당원들이다. 따라서 정당의 동기가 적절하게 조정될 때 공화당의 대중적 호소력이 부족할 거라고 믿을 이유는 없다. 덜 양극화된 공화당 없이 덜 양극화한 정치는 없으며, 덜 양극화한 공화당으로 가는 길은 공화당에 트럼프가 올라타고 승리를 거둔 종족 민족주의적 연합체를 넘어서는 것이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b310ad2b6e7a4f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