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복합체의 위기는 더 절실했다. 테러와의 전쟁이 군산복합체의 생명을 연장시켜 주었지만, 테러 단체가 냉전시대의 소련 같은 위치를 차지할 수는 없었다.
만일 누군가가 테러 단체를 상대하기 위해 핵개발, 고도화된 무기, 군의 전력 강화를 주장한다면 어떻게 받아들일까? 군산복합체에는 더 강력한 적이 필요했다.
그런데 새롭게 등장한 라이벌 중국은 경제대국이기는 했지만, 군사강국은 아니었다. 미국은 여전히 군사적으로 중국을 압도하고 있었다. 미국 대중들은 중국을 제압하기 위해서는 압도적 군사력이 아니라 압도적 경제적 지위를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때 네오콘과 군산복합체가 주목한 것이 러시아였다. - <최진기의 러우전쟁사>, 최진기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W1ZERChqdeJJiDTF8
네오콘에게는 중국보다 러시아가 일차적인 적이었다. 네오콘 세력은 냉전시대부터 이념을 가장 우선시했으므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와 손을 잡는다는 것은 생각조차 못할 일이었다.
당시 푸틴의 러시아는 시진핑의 중국보다 더 권위주의적인 정권이었다. 네오콘은 시진핑의 중국은 미국 및 서방과 교류로 차츰 자연스럽게 자유민주국가로 변할 수 있지만, 푸틴의 러시아는 외부의 강제가 있기 전에는 그런 변화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 <최진기의 러우전쟁사>, 최진기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KUMxSW2KtSyMsPEs7
러시아는 푸틴이 2000년부터 20여 년 넘게 장기집권을 하면서 민주주의가 후퇴했다. 이에 따라 공화당에 비해 더 낙관적인 대러시아 정책을 편 민주당의 입지가 좁아졌다. 특히 민주당 정부는 러시아와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던 오바마 정부의 리셋 정책Reset Policy이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 및 병합으로 뒤통수를 맞자, 상대적으로 더 강경한 정책으로 바뀌게 되었다.
민주당 정부의 대러시아 정책에 결정타를 날린 것은, 2016년 미국 대선에 러시아가 트럼프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사이버 공격을 했다는 의혹이었다. 민주당 주류 세력은 푸틴 정권을 미국 민주주의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는 적으로 여기게 되었다. - <최진기의 러우전쟁사>, 최진기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xKyJmeFAbySKieGd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