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 / 을유문화사 / 2018년 10월
평점 :
확장된 표현한
이기적 유전자의 관점에서 보면 흡충의 유전자와 달팽이의 유전자 모두 달팽이 몸의 ‘기생자’라 생각할 수 있다.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GVoJnDbxzoxzurGx6
그 유전자가 숙주의 유전자와 같은 운반체를 거쳐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가?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bLrSQFZHczhcNqA4A
만일 그렇다면 기생자는 숙주가 단순히 생존뿐만 아니라 번식도 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 도울 것이다. 긴 진화의 시간을 거쳐 오면서 그것은 더 이상 기생자가 아니라 숙주와 협력하여 종국에는 숙주의 조직에 합체될 것이며 기생자로서의 흔적은 찾을 수 없게 될 것이다.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8RFtvoFVJ2U7SQwL9
우리 몸의 세포도 이 진화의 스펙트럼을 지나쳐 온 것인지 모른다. 우리 모두는 태고의 기생자들이 합체한 것의 유물일지도 모른다.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eBTjuozRRfC4PDCi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