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사냥꾼은 원숭이를 자기 힘으로 잡으려고 하는데(잡은 개체가 고기를 대부분 차지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 다른 개체들의 행동을 고려한다. 따라서 한 개체가 추격을 시작하면 다른 개체들도 원숭이가 도망치는 방향을 예상하고 남은 자리 중에 가장 좋은 곳으로 달려간다. 참가자들은 공동 목표와 그 안에서 개인적 역할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우리‘를 형성해서 함께 일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라이모 투멜라 (Tuomela, 2007)가 말하는 이른바 "나 중심의 집단 행동 group behavior in mode" 안에서 움직인다(Tomaselloet al., 2005. 이 책의 3장을 보라). - P60
인간과 비교하면, (・・・) 먹이 찾기같이 비경쟁적인 상황에서 침팬지가 보이는 협력 행동의 전반적인 결여가 두드러진다. 협력적인 먹을거리 채집은 먹을거리를 찾는 모든 인간에게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Hill, 2002). 하드자족 남자들이 바오밥 나무에 올라가서 열매를 흔들어 밑에 있는 여자들에게 떨어뜨리는 것처럼 가장 단순한 형태의 협력 행동조차 (・・・) 침팬지의 행동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 P63
우리는 도덕에 주로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이 모든 것에 담긴 핵심적인 질문은 침팬지와 보노보가 협력 활동에서 이타적인 행동을 하느나는 것이다. 자신에게는 비용만 발생하는데도 남에게 어떤 이익을주는 것을 근접 목적으로 갖는다는 의미에서 말이다. (경제학자들에게이 질문은 그들이 ‘타자를 고려하는 선호 other regarding preferences를 갖느냐는 것이지만, 도덕심리학자들에게는 그들이 타자에 대한 공감적 관심을 갖느냐는 것이 된다). - P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