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국가의 부 나남신서 164
제인 제이콥스 지음, 서은경 옮김 / 나남출판 / 2004년 9월
품절


(한 나라의 수도가 주요 산업 및 상업도시일 경우 수도가) 쇠퇴의 거래를 주도하면서 부가 증가하기 때문에 도시의 다른 기능이 축소되고 쓸모 없게 되고 저하되는 부작용은 뒤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싱턴의 경제가 지난 40년 동안 성장할 때 한때 매우 다변화되고 창조적이었던 뉴욕의 경제는 점차 퇴보했다. 서비스와 금융 산업의 성장은 사라진 수출과 일자리를 보충하지 못했으며 결국 절실한 당면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조차 상실하고 말았다.

만약 미국의 수도가 뉴욕이었다면 어땠을까?(사실 건국 초기에 뉴욕이 수도였었다.) 뉴욕이 지금의 워싱턴과 뉴욕을 합친 기능을 모두 수행하고 있다면 뉴욕의 경제적 쇠퇴는 쇠퇴의 거래에 의존해 아직도 계속 호황을 누리고 있는 정부 프로젝트에 의해 가려졌을 것이다.
-258쪽

경제전체가 회생과 조정을 필요로 하는 국가에서 수도는 최후의 보루처럼 보이곤 한다. 겉으로 보이는 현상을 그대로 믿어서는 안된다. 마지막까지 활력을 지키는 국가나 제국의 수도는 다망한 통치 뒤에 숨겨두었던 놀라울 정도로 무기력하고 낙후되고 가련한 현실을 드러내고 만다. -25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