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다음 20세기에도 계속 반복되었듯이, 중국의 거대한 인구에게 무한히 팔 수 있다는 외국인의 꿈 - 소위 중국시장의 신화 - 은 착각으로 판명되었다.
돌이켜보면 아편전쟁 후 중국무역에 걸었던 영국의 기대는 너무 순진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시 중국 음식을 먹는 데는 젓가락이 어울린다는 사실을 무시하고, 세필드의 식기회사는 나이프와 포크를 중국에 보냈던 것이다. 한 피아노 제조업자는 3억에서 4억에 달하는 인구 중 최저 백만명의 음악 애호가가 유럽에서처럼 자신의 거실에서 피아노를 연주하고 싶어할 것이라 확신하고 '엄청난 양의 피아노'를 보냈다.-218쪽
(20세기 초 중국의 대유럽) 비단무역의 쇠퇴요인으로 외국시장의 변덕스러운 변동은 부분적인 이유에 지나지 않았다. 세계 견제품 시장에서 중국의 경쟁적 지위가 극도록 나빠진 것은 견제품의 품질을 계속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19세기 말까지 일관되게 중국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차가 일본과 인도, 실론 등 신흥 상대자와 경젱하는 데 실패한 것은, 주로 품질이 나빴기 때문이다. 예컨데 생산자나 중개인이 품질이 낮은 잎을 섞거나, 심한 경우에는 잡초나 모래를 혼입하기도 했던 것이다.-2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