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나남신서 201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강명구 옮김 / 나남출판 / 2005년 5월
품절


사적 시민은 아이를 사립학교에 보냄으로써 공교육에서 '나올 수'(can exit) 있지만 동시에 그와 그의 아이들의 삶이 공교육의 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에서는 '나올 수 없다'(can't exit)-140쪽

이제까지 이탈의 경향성은 제품 질에 대한 불만 혹은 정당의 노선에 대한 견해 불일치의 증가 함수로 나타났다. 이제 우리는 이 변수들이 (이탈의 경향성과) 무관하거나 혹은 심지어 역의 관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이 가상적인 손실(자신이 이탈했을 경우 사회 전체에 미칠 추가의 상황 학화가 수반할 예상 손실)을 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충성파 행동의 편익....이탈에 실패한 기간이 길면 길수록 이탈을 결정하는 것도 점점 더 힘들 것이다.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계속 조직에 남아있어야 한다는 신념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고해진다. -141쪽

흔히 이런 사고는 기회주의를 사후적으로 정당화시킨다.(허쉬만은 여기서 항의의 의미로 사임했어야 하는 상황에서 사임하지 않고 행동하는 이들의 기회주의를 지적하고 있다. p. 157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기회주의가 공식적인 의무감으로 합리화될 수 있다. 더 미화하자마면 비밀스런 순교라는 가면을 쓸 수 있다는 것이다.")-142쪽

공공재의 경우 완전할 이탈이 불가능하므로 우리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다'....이제 이탈하는 것은 항의로 사임하는 것을 뜻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변화를 위해 내부에서 투쟁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조직을 비난하며 싸우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제 대안은 항의와 이탈 사이의 문제라기보다는 조직 내의 항의와 (이탈 후) 조직 외부로부터의 항의 사이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이탈의 결정은 다음과 같이 완전히 새로운 질문에 달려있게 된다. 즉, 내부에 남아 정책을 변화시키려고 하기보다는 외부에서 잘못된 정책에 대항하여 싸우는 일에서 이 두 곳 중 어느 지점이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은 논외로 하고) 더욱 효과적인가?-143쪽

흑백통합을 하면 집단의 개인 회원은 지위가 올라가지만 모순되게도 이 집단의 운명을 전체로서 변화시키는데에는 실패한다. 유망한 개인들의 대부분을 집단에서 떼어내 이 집단이 유망한 개인들과 함께 이루어 나가야 할 집합적 추진력을 약화시킨다-149쪽

우리의 견해는 비시장적 힘이 시장적 힘보다 꼭 자율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그것은 이 두 힘 사이에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 열려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반면 자유방임주의자나 개입주의자들은 시장과 비시장적 힘을 엄밀하게 양립적으로 해석하여 자유방임주의자들의 선이 개입주즤자들에게 악이 되고, 반대로 개입주의자들의 선이 자유방임주의자들에게 악이 되는 것처럼 이해하고 있다. -44쪽

담합행위로서의 경쟁(이탈-경쟁)

...여러 경쟁사들의 주장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모두 같은 문제가 있는 이 상품 저 상품들을 바꾸어가며 장기간 실험을 하게 될 것이고, 이로써 제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라고 생산자에게 압력을 넣는 것이 지연될 것이다. 이 경우 경쟁은 소비자의 불만을 억제하므로 생산자에게는 상당히 편리한 것이다. -53쪽

경쟁은 단순히 경쟁사 사이에 서로의 고객을 서로 유인하는 것으로 결말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일이 벌어지는 한 경쟁이나 혹은 제품의 다양화는 낭비이자 눈속임에 지나지 않는다. -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