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인이 소개한 연구에 따르면 정책 태도와 정당 선호가 충돌할 때 사람들은 정당 선호를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 정책태도가 정당선호를 낳는게 아니었나?
- 그럼 정당선호는 어떻게 나오는거지?




참가자들은 기사에 실린 프로그램에 대한 호감도를 1부터 7까지의 척도로 평가해보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 실험에 참가한 학생들은 이념적 성향이 강했고, 복지 정책에 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중요치 않았다. “진보적인 학생들과 보수적인 학생들 모두 정책 내용보다 준거집단에 따라 판단했다. 자기 당이 지지하면 진보주의자들은 엄격한 복지라도, 보수주의자들은 호화스러운 복지라도 지지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6CxU5n6Ah1r8YSsc7

정치에 별로 관심을 두지 않거나 정책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정당을 지름길로 삼고, 정당의 속임수에 취약해진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JcLUpgwLAhNKtdh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