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학이 이렇게 재미있는 거였어??!!
- 백퍼 공감.
- 재미를 느끼도록 쓰는 솜씨가 대단하다
- 다른 화학책을 뒤적거리며 설명을 읽어보니 원자나 전자를 의인화한(유시민 왈 인문학적) 설명이 갖는 매력을 따를 수 없다



고등학교에서 배운 화학은 신기하지 않았다. 그럴만한 내용이 있었는데도 이해하지 못해서 그랬을 것이다. 나는 소금이 왜 물에 녹는지 뒤늦게 이해했다. 그걸 아는 게 뭐 그리 대단한 일이냐고? 내겐 대단했다. 인문학 책에서는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던 감정을 느꼈다. 놀라움과 짜릿함. ‘소금물이 그런 거였어?!’ 이런 감정을 느낀 이유를 말하려면 ‘빌드업’을 할 필요가 있다 -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oTRWof48MC87kge3A

물은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2개가 전자 두 쌍을 공유한 분자화합물이다. 산소 원자를 꼭짓점 삼아 수소 원자 2개가 V자로 가지처럼 붙어 있다. 잠시 인문학 언어를 쓰자.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보다 욕심이 많고 힘도 세다. 그래서 수소와 공유하는 전자를 자기 쪽으로 살짝 당겨 놓는다. 그 불균형 때문에 물은 중성이지만 산소 원자는 음전하를 띠고 수소 원자 2개는 양전하를 띤다. -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xmng9VtZLnydB9r19

소금은 나트륨(Na)과 염소(Cl)의 이온화합물이다. 나트륨 원자는 전자를 11개 보유한다. ...나트륨 원자가 최외곽 전자껍질에 혼자 있는 전자를 방출하면 전자가 양성자보다 하나 적어져 양전하를 띤 나트륨 이온이 된다. 염소 원자는 전자가 17개다. 전자는 첫 번째 전자껍질에 2개, 그다음 전자껍질에 8개, 최외곽 전자껍질에 7개가 있다. 염소 원자가 혼자 돌아다니는 전자 하나를 영입해 최외곽 전자껍질을 전자 8개로 채우면 전자가 양성자보다 하나 많아져 음전하를 띤 염소 이온이 된다. 두 이온이 서로를 끌어당겨 뭉친 것이 염화나트륨(NaCl)이다. -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Xav3Z2uxE9Jz2W4L6

소금이 물에 들어오면 음전하를 띤 물 분자의 산소 원자가 양전하를 띤 소금 분자의 나트륨 이온을 움켜쥔다. 양전하를 띤 물 분자의 수소 원자는 음전하를 가진 소금 분자의 염소 이온을 낚아챈다. 물을 이루는 두 원자가 그렇게 갈퀴질을 해서 소금 분자를 찢어발긴 것이 소금물이다. -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uzgo6T6Wm7tQ8uF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