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제도와 테스토스테론


대부분의 종합적 연구에서 세계 각지의 수렵채집 인구 집단의 90퍼센트가 일정 정도의 일부다처혼 제도를 갖고 있는 반면, 10퍼센트만이 일부일처혼 제도를 갖고 있었다. 일부다처혼이 존재하는 사회들 가운데 남성의 약 14퍼센트와 여성의 22퍼센트가 일부다처혼을 했다 - <위어드>, 조지프 헨릭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d6b0aab1e4444cf


일부다처혼은 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 중동의 많은 지역에서 여전히 합법이다. 동시에 일부다처혼에 대한 현대의 거의 모든 법적 금지는 WEIRD의 토대에서 나오며, 이는 결국 기독교 교의에 그 뿌리를 둔다. - <위어드>, 조지프 헨릭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d6b0aab1e4444cf

문제는 일부일처혼이 상업 시장의 토대를 제공하는 계약법과 비슷한가, 아니면 유럽의 위신에 편승하면서 전 세계로 퍼져나간 우스꽝스러운 의복 관습인 넥타이 매기와 더 비슷한가 하는 것이다. - <위어드>, 조지프 헨릭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d6b0aab1e4444cf

일부일처의 규범은 지위가 높은 남성이 잠재적인 부인들을 독점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지위가 낮은 많은 남성들이 결혼(짝 결속)을 하고 자식을 두도록 해준다. 그리하여 WEIRD 혼인 규범은 더 높은 비율의 남성이 일부일처혼을 하고 자녀를 돌보면서 낮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유지하게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부다처 사회에서는 훨씬 더 많은 남성(〈그림 8.1〉의 40퍼센트)이 생애 전체에 걸쳐 〈그림 8.3〉의 ‘미혼’ 범주에 머무를 것이다. 이와 같이 일부다처 사회에서는 더 높은 비율의 남성이 일부일처 사회의 남성들에게서 관찰되는 테스토스테론 감소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다처 새와 마찬가지로, 일부다처 사회의 미혼 남성들은 생애주기 전체에 걸쳐 상대적으로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유지한다.25 - <위어드>, 조지프 헨릭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d6b0aab1e4444cf

기독교의 결혼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WEIRD의 결혼으로 독특한 내분비학이 형성되었다. 많은 의사들은 남성이 나이가 들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자연스럽게’ 감소한다고 믿는다. 21세기 미국에서는 감소량이 심각할 정도라서 일부 중년 남성들은 테스토스테론 저하에 대해 치료를 받는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인간의 전형적인 혼인 제도를 가진 여러 사회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의 감소가 그만큼 흔히 나타나지는 않으며, 그런 경우가 있더라도 WEIRD 사회만큼 가파르게 감소하지는 않는다. WEIRD 내분비학은 우리의 WEIRD 심리학과 동반하는 것으로 보인다.30 - <위어드>, 조지프 헨릭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d6b0aab1e4444c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