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어드 세계의 도덕원칙 : 피해의 원칙과 공평성의 원칙


서양적이고 고학력이고 산업화되고 부유하고 민주주의적인(Western, Educated, Industrialized, Rich, Democratic : 여기서 WEIRD라는 준말이 나왔다) 문화
2010년 문화심리학자 조 헨리히(Joe Henrich), 스티브 하인(Steve Heine), 아라 노렌자얀(Ara Norenzayan), 세상에서 가장 별난 사람들 The Weirdest People in the World?


펜실베이니아 대학 학생들은 내 연구에 속한 열두 집단 가운데서도 가장 별난 그룹에 속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학생들이 유별나다는 건 철두철미하게 ‘피해의 원칙’을 지키려고 했기 때문인데, 이 원칙은 1859년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이 이렇게 표현한 바 있다. “교양 있는 공동체에서 그 구성원에게 정당하게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는 오직 하나, 타인에 대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려는 목적이 있을 때뿐이다.”1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한 학생이 이렇게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건 어차피 그가 산 닭이고, 또 그가 먹을 거니까, 여기서 피해 입을 사람은 아무도 없죠.”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BGHXH1nv6vAjgV9X7

이들이 수십 가지 연구를 검토해본 결과, 이 WEIRD권(圈)에 속하는 사람들이 통계적으로는 열외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리가 인간 본성을 일반화하고 싶을 때 연구할 수 있는 대상은 많은데, 이 WEIRD권 사람들은 그중에서도 가장 전형적이지 못하고 대표성도 가장 적다는 것이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n3tkoVpD1JAEAU1q9


세상이 개인들로 가득 차 있다고 보는 사람의 경우에는 (개개인과 그들의 권리를 보호해주는) 콜버그나 튜리얼 식의 도덕성을 원할 것이다. 그러면서 피해와 공평성의 원칙을 무엇보다 강조할 테고 말이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T8gMZDpRj4J9JQXQ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