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에 대한 진보와 보수의 의견들
- 진보 : 환경(구조 대 상황)
- 보수 : 도덕 교육의 실패

그렇다면 깨진 창문 이론과 상황의 힘이 제시하는 바는 무엇인가? 보수주의자들과는 정반대의 입장이다. 근본적이고도 내재적인 이유로 행동하는 사람들이며 자기 자신의 세계에 갇혀 사는 사람들과는 거리가 먼 범죄자들은 오히려 주변 환경에 너무 민감해서 모든 상황에 신경을 곤두세운다. 그들은 자기 주변 세계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범죄를 저지르기로 작정한다. 이것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급진적인 개념이다. 이보다 더욱 급진적인 것도 있다.
상황의 힘은 환경론적인 주장이다. 이런 주장에 따르면 행동은 사회적인 상황의 기능이다. 그러나 매우 색다른 환경론이다.
1960년대 자유주의자들은 이와 유사한 주장을 했다. 하지만 자유주의자들이 환경의 중요성에 관해 말할 때 그들은 근본적으로 사회적인 요소들의 중요성에 관해 말하고 있었다. 그들에 따르면 범죄는 사회적인 불의, 구조적인 경제 불평등, 실업, 인종 차별, 제도적 · 사회적으로 수십 년에 걸쳐 무시당한 결과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당신이 이런 범죄를 저지하려면 상당히 영웅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하지만 상황의 힘이 정말로 문제가 되는 것은 사소한 것이라고 말한다. 버니 게츠와 4명의 흑인이 지하철에서 대결한 것, 게츠의 꼬여 있는 병리적인 상태, 게츠에게 시비를 걸었던 4명의 흑인들이 경험했던 가난과 배경, 지하철 벽에 휘갈겨진 낙서에 보이는 메시지, 회전 출입문에서의 무질서와 혼란과 같이 모든 면에서 대처할 방도는 없다. 상황의 힘은 범죄를 해결하기 위해 거창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단지 벽에 있는 낙서를 지우거나 무임 승차하는 사람을 잡는 것과 같은 것들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151
대중적인 관점에서 도덕적인 실패 - 지역 사회와 학교와 부모들이 더이상 옳고 그른 것의 관점에서 아이들을 키우지 못해 초래된 실패 - 의 결과로 범죄를 저지른다는 보수주의자들의 책들은 헤아릴 수도 없이 많이 나와 있다.
이 모든 이론들은 근본적으로 범죄자는 하나의 성격 유형이라고 말하고 있다. 말하자면 정상적인 사회 규범에 둔감한 성격 유형이라는 것이다. 심리적인 발달이 위축된 사람들은 건전한 관계를 맺어나가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잘못을 통해 올바른 것을 배우지 못하는 사람들은 무엇이 적절한 행동인지 아닌지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가난하고 아버지도 없고 인종 차별로 시달린 사람들은 건전한 중산층 가정 출신의 사람들처럼 사회적인 규범에 똑같이 참여할 수 없다. 지하철에서 마주친 버니 게츠와 4명의 불량배들은 이런 의미에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자기 세계의 포로들이었다. - P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