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인간은 출생과 더불어 사람이 된다
- 태어날 때 절대적 환대를 받는다
태어난 생명을 무조건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은 그 생명이 살 가치가 있는지 더 이상 따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칸트 철학의 전통에서 사람은 지극히 가치 있는 존재라기보다 가치를 따질 수 없는 존재임을 여기에 부기해두자. 칸트는 가격을 갖는 사물과 존엄성을 갖는 사람을 대립시킨다. 가격을 갖는다는 것은 비교할 수 있으며 대체 가능하다는 뜻이다. 인간은 그 자체가 목적인 존재이기에 가격을 갖지 않는다.
"존엄성의 가격을 계산하고 비교하는 것은 곧 그것의 신성함을 모독하는 것이다." 타자를 사람으로 인정한다는 것은 그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에 대한 질문을 괄호 안에 넣은 채 그를 환대하는 것을 말한다. 타자가 도덕적 공동체 안으로 들어오는 것은 이러한 환대를 통해서이다. 타자는 사회 안에 그의 자리를 마련해주는 우리의 몸짓과 말을 통해 비로소 사람이 되고, 도덕적 주체가 된다(사람이란 법적, 도덕적 주체의 다른 이름이다). - P211
5) 임마누엘 칸트,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이원봉 옮김, 책세상, 2002, p. 94. 오렐 다비드는 칸트의 이러한 생각을 법적인 관점에서 더욱 명료하게 진술한다. "순수하게 물리적인 세계에서는 가치의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가치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 속에서만 나타나며, 따라서 사람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가치는 사물들의 속성으로 여겨진다. 모든 사물은 평가될 수 있지만, 사람 자체는 가치를 갖지 않으며 평가될 수 없다. 가치의 관념은 물건에 대한 법 전체를 에워싸고 있다.
예를 들어 쌍무계약은 재화나 서비스를 동등한 가치로 교환하는 것이다(서비스는 물질이 아니지만 사람에게서 나오는 어떤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사람에 관한 법ㅡ 신원, 이름, 혼인, 친자 확인, 양자 등등 - 에는 가치의 관념이 나타나지 않는다. 사람을 팔거나, 주거나, 저당 잡히는 일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사람은 가치나 평가에 관한 일체의 관념 바깥에 머문다. 경우에 따라 잠정적으로 거래에서 제외되는 사물들이 있다. 하지만 사람은 본질적으로 그리고 결정적으로 팔 수 없으며, 평가할 수 없다" (Aurel David, 같은 책, p. 29). - P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