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건 체제만이 아니라 어떤 체제라도 질서의 근본 가치는 비용절감과 폭력 억제의 효과에 있다. 한국과 중국의 봉건 체제가 유럽이나 일본보다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도 그 기준으로 말하는 것이다.
동아시아 봉건 체제를 ‘관료 봉건제‘라고도 하는데, 무력이든 경제력이든 정보력이든 우월한 실력을 가진 유력 계층을 관료층으로 편성해서 제한된 범위의 특권을 부여하는 대신 왕권의 통제 아래 두어 낭비적 무한경쟁과 무절제한 폭력 행사를 가로막는 것이다. 인구가 조밀한 동아시아 농업 사회는 이 질서 위에 세워질 수 있었던 것이다. 유럽과 일본의 봉건 체제는 유력 계층의 중간 권력이 일으키는 낭비와 폭력에 대한 억제가 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