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르바초프 대 옐친
- 사회주의를 재정의하려던 고르바초프
- 고통스런 전향을 겪은 옐친


스타일과 성격보다 훨씬 큰 차이는 가장 결정적인 질문, 즉 “공산주의는 끝났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태도였다. 고르바초프는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재정의해서 그 의미를 많이 퇴색시키려는 의지는 있었어도 공산주의 이념을 완전히 포기할 생각은 없었다. 그는 러시아가 11월 9일에 선택했다고 알려진, 돌이킬 수 없는 “사회주의 선택”에 대해 말했다. 고르바초프에게 레닌은 난공불락의 권위로 남았다. 반면 옐친은 고통스럽고도 공개적인 전향 과정을 겪었다. 공산당 기득권 세력과의 충돌에 자극을 받아서 가장 기본적인 정치적 신념을 재검토하고 더 이상 자신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1991: 공산주의 붕괴와 소련 해체의 결정적 순간들 중에서


옐친의 지적 발전에서 한 가지 전환점은 미국을 처음으로 방문한 1989년 9월, 더 구체적으로는 텍사스 휴스턴의 슈퍼마켓을 방문했을 때였다.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식품과 가정용품이 깔끔하게 쌓여있는 선반이 끝도 없이 이어진 광경에 놀라기도 했고 낙담하기도 했다. 미국을 처음 방문한 다른 소련인 방문객과 마찬가지로, 그런 모습은 옐친에게 자유의 여신상이나 링컨기념관과 같은 관광명소보다 훨씬 더 인상적이었다. 그런 광경이 이례적이지 않다는 사실 때문에 더 그랬다. 대부분 소련인이 상상할 수 없는 풍부한 소비재 상품을 일반 시민이 몇 시간씩 줄을 설 필요 없이 구할 수 있었다. 게다가 전부 보기 좋게 진열되어 있었다. 칙칙한 공산주의 환경에서 자란 사람이라면 상대적으로 특권층인 엘리트에 속하더라도 서방의 슈퍼마켓 방문은 온몸이 마비되는 충격을 받게 된다.

1991: 공산주의 붕괴와 소련 해체의 결정적 순간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