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1993년간 부족 현황에서 1-4규모 기업에서는 숙련 기능자의 부족 인원이 가장 많았던 반면에 5규모 이상의 기업에서는 미숙련 기능자의 부족 인원이 많았다. 즉 499인 이하 기업은 숙련 기능자가 가장많이 부족하였고, 500인 이상의 대기업은 미숙련 기능자가 부족한 대조적인 현상을 보였다.
그런데 미숙련 기능자의 부족과 숙련 기능자의 부족은 서로 상당한차이가 있다. 미숙련 기능자는 직업 훈련원이나 공업계 고교의 졸업자들이 해당되므로, 이들 인력이 부족했다는 것은 양성 인원의 절대수가부족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이 생산 기능직으로의 입직을 기피해서발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숙련 기능자의 경우는 양상이 다르다.
이들 인력이 부족한 것은 이들이 타 직종으로 전직했거나 회사를 옮겨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 P297
1990년대 공고 확대 정책이나 「2.1 체제」 실시는 이러한 기능 인력부족 현황을 토대로 분석함으로써 그 성격과 타당성을 점검할 수 있다.
노동부의 정의에 따르면 숙련 기능자는 6개월 이상의 기능 습득을 요하는 기능 직종에서 3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자이고, 미숙련 기능자는현재 교육 중에 있는 자이므로, 공고 학생이나 갓 졸업생은 미숙련 기능자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1990년대 인력 정책에서 공고 확대는 미숙련 기능자의 공급을 늘리는 것이었다. 현장 실습을 1년으로 한 「2.1 체제」 역시 미숙련 기능자의 공급 확대라는 의미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런데 위의 인력 부족 현황에서는 숙련 기능자의 부족 인원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므로 공고 확대를 통한 미숙련 기능자 양성은 노동 시장의 어려움에 맞게효율적으로 계획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숙련 기능자를 공급하려면공고 재학 기간과 현장 경력을 고려할 때 적어도 6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1990년부터 공고, 일반계 고교 직업교육과정, 직업 훈련원 등의수용 능력을 늘리는 정책이 1992년의 조사에서 정책 효과가 거의 없었다는 응답이 많았던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 P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