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정부는 처음 경제개발계획(經濟開發計劃)을 실행하였다. 경제개발계획은 민간자본의 축적과 시장의 조정기능이 미숙한 상황에서 국가가 주도하여 근대적 성장 동인을 구축함으로써 지속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최초의 경제개발계획은 경제적 민족주의를 반영하여 내자(內)와 내수를 동원한 자립경제의 달성을 중시하였다. 경제적 민족주의의 과제는 경제적 형평의 과제와 무관하지 않다. 중소기업의 육성은 자립적 공업화를 지원하고, 농촌의 육성은 식량 자급과 내수시장 확대를 낳고 부정축재자금의 환수는 내자 동원의 목적을 가졌다. 그런데 이러한 시책이 조속한 성과를 거둘 전망을 보이지 않자, 공화당정권은 대외지향적 성장전략으로 수정하였다. 그에 대응하여 농공불균형성장전략이 전면에 나오고, 대자본이 경제발전의 주역으로 부상하였다. - P496
1980년대 후반의 대호황으로 외채 문제가 해소되기 전까지 학계에서는 대외지향적 전략, 성장지상주의 및 농공불균형성장전략에 대한 비판이 강하였다. 그 요지는 외향적(外) 성장전략이 국내 잉여의 해외 유출을 낳고 나아가 경제적 종속 상태에 빠지게 하므로, 내자를 동원하여 수입대체공업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장지상주의가 초래할 분배의 불평등에 대한 우려가 컸다. 그런데 장기간 고도성장은박정희정부의 정책 방향이 기본적으로 타당하였음을 보여준다. 1950년대 저소득의 작은 국가가 내자를 동원한 수입대체공업화로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것은오히려 외부적 자극을 배제함으로써 후발성의 이점을 누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국내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이권추구행위를 조장할 우려를 가진다. 수출을 증진하기 위해서국제적 수준의 상품을 만들려고 노력해야 하였고, 그러한 가운데 선진적인 제도와 기술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었다. 공업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는 전략은 농업발전을위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였고, 고도성장에 따른 일자리의 증가와 임금의 상승은 민중의 생활수준을 향상시켰다. - P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