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가 자동화에 반대만 한 것은 아니었다. 자동화가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이해했고 올바른 선택을 내린다면 자동화로 인한 비용절감이 모든 당사자에게 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이 요구한 것은 새로운 업무를 창출하는 데 기술 발달을 사용하고 비용 절감과 생산성 증대의 이득을 노동자들과도 나누라는 것이었다. 1955년에 전미자동차노조는 이렇게 선언했다. "우리는 ・・・ 더 큰기술적 진보가 더 큰 인간의 진보를 가져올 수 있게 할 ... 정책과 프로그램을 찾는다는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면서 ... 협력할 것이다."
1960년에 GM은 디트로이트의 피셔 바디 사업부 차체 제조 공장에 수치 제어 드릴 기계를 도입하면서 이 기계의 운전원을 기존의터렛 드릴공과 같은 임금을 받는 직렬로 분류했다. 노조는 동의하지 않았다. 새 기계의 운전이 업무 범위가 더 넓고 추가적인 업무 역량을 요구하는 "새로운 업무"라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문제는 이보다 더근본적이었다. 노조는 고숙련 저숙련을 막론하고 회사에 이미 채용된 노동자들이 새로운 업무에 배치되는 데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선례를 만들고 싶었다. 경영진에게는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는 해석이었다. - P353
생산 과정과 조직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데서 경영진이 통제력을 잃는다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양자는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고 조정 절차에 들어갔다. 1961년에 중재인은 노조의 손을 들어주면서 이렇게 결론내렸다. "이것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경영상 의사결정의 일환으로 어떤기능을 제거하거나 여타의 방식으로 제조의 수단, 방식, 공정을 바꾸는 경우가 아니다."
이 결정에는 막대한 함의가 있었다. GM은 새로운 수치 제어기계를 다룰 운전원에게 추가적인 교육 훈련을 제공하고 더 높은 임금을 주어야 했다. 더 일반적인 함의는 "수치 제어 시스템을 다루기 위해서는 노동자가 추가적인 숙련 기술을 획득해야 하며" "노동자가 자동화된 기계를 다루기 위해 들여야 할 추가적인 노동은 그들이 더 높은임금을 받을 자격을 갖는다는 의미"라는 것이었다. 사실 노조 입장에서 핵심은 노동자들에 대한 교육 훈련이었다. 그들은 노동자들이 새로운 기계를 다루는 데 필요한 기술을 따라잡고 그 기계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회사가 교육 훈련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P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