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평균과 유형에 이끌린다
- 원래 그렇다. 그렇다고 진실인 것은 아니다.


스테레오타입이라는 단어의 어감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그 단어에는 선입견, 그리고 잘못된 이유로 상대방에 대해 섣부른 판단을 내린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하지만 윌리엄스와 베스트는 스테레오타입이 “기본적으로는 여타 일반화 과정과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그들의 관점에 의하면 스테레오타입은 “그저 인간 집단에 대한 일반화일 뿐이지 반드시 나쁜 일반화인 것은 아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n1J1PD7Hm5JHPgcB9

인간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 차이를 발견하는 데에 아주 능숙하다. 인간의 마음이 그렇게 설계되어 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CoA4dNTYc91idv469

스테레오타입이 항상 정확하지는 않다. 남성과 여성처럼 우리가 잘 아는 집단이 아닌 잘 모르는 집단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은 부정확한 경우가 많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Rxn2DEAhBdfGY9en7

스테레오타입이 안고 있는 가장 큰 위험성은 부정확성이 아니라 경직성이다. 리더십이 요구되는 자리에는 남자가 더 적합하다는 생각, 남자는 남의 마음을 읽는 데에는 미숙하다는 생각은 옳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모든 남자가 다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분명 잘못된 생각이다. 우리는 평균 간의 차이를 즉 X 집단의 평균적 구성원과 Y 집단의 평균적 구성원 간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에는 뛰어나지만 집단 내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능력은 부족하다. 범주화로 인해 우리는 어떤 사회범주에 있는 구성원들이 실제보다 서로 더 닮아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우리 자신이 속해 있지 않은 범주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wWAnoUhZbWqY2bNx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