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상인이 지배하는가 - 권력의 역사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
데이비드 프리스틀랜드 지음, 이유영 옮김 / 원더박스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타협의 시대, 빅토리아

1830~1840년대에 심각한 파업과 사회적 소요가 자주 발생하여 당대의 지배 질서를 뒤흔들었다. 이러한 운동을 조직한 사람들은 대부분 생산자동화와 시장경제의 잦은 변화 때문에 직격탄을 맞은 장인들이었다. 그 결과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곧 혁명이 도래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결국 카스트 간의 새로운 타협책들이 연쇄적으로 도출되었다. 생산 제조업자들은 고용 노동자들에게 덜 강경하고 더 온정적으로 대하기로 했고, 정부는 공장의 노동 조건과 거주 지역의 생활 조건을 규제하기로 했다. 1850년대 들어 경제가 호전되었고, 많은 숙련노동자들이 중산층의 존경할 만한 미덕에 이끌렸다. 이 미덕은 인간의 도덕성, 절제 그리고 자신에 대해 상인 집단이 품었던 이상형이기도 했다. - P116

당시 영국의 산업자본가들은 숙련노동자 집단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숙련노동자 집단은 생산 제조 과정의 여러 부분을 관리하고 신입 노동자들을 훈련시키는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시스템 덕분에 혁신적 산업자본가들은 전문 관리자 집단의 도움과 정교한 기술 교육 없이도 사업을 이끌었다.
- P117

타협에 동참한 카스트들 간의 긴장은 상존했지만, 각 카스트들은 서로의 영역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며 합리적이고 조화롭게 공존하는 법을 터득했다. 당시 영국은 세계의 ‘공장‘이 아니라 ‘작업장‘에 훨씬 가까웠기 때문에 이처럼 비교적 낮은 수준의 협력으로도 충분했다. 즉, 19세기 말까지 영국에서는 기계보다 근육이 훨씬 중요했다. 산업자본가들은 소규모 설비를 갖추고도 사업을 진행하는 데 큰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신사-상인 집단의 은행업 분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필요가 없었다. 그 결과 은행가들은 자금을 보다 이윤이 컸던 국제무역과 해외 산업 부문에 쏟아부을수 있었다. 이처럼 ‘상위‘ 카스트 집단에 요구 사항이 적었던 소규모 산업자본가들은 자신의 ‘하위‘ 카스트 집단의 독립성을 어느 정도 용인했다. 그 결과, 숙련노동자들은 작업 현장 조직 전반에서 약간의 자율성을 확보했다. -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