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상인이 지배하는가 - 권력의 역사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
데이비드 프리스틀랜드 지음, 이유영 옮김 / 원더박스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고대의 직업분류

전사 귀족
- 전사 역할 대 가부장 역할

현인
- 사제 역할 대 테크노라트 역할

상인
- 단기 이득 추구 대 장기 이익 추구

노동자
- 피지배 대 공동체적 연대

고대인들 역시 이러한 전개 양상을 간파했다. 고대인들은 사회를 원자화한 개인들의 총합으로 보지 않았다. 그렇다고 해서 사람들을 각자의 사유재산에 따라 분류하는 마르크스주의적 경제적 계급의 총합으로 보지도 않았고, (후쿠야마처럼) 이데올로기적 당파의 총합으로 보지도 않았다. 고대인들은 사회를 직군의 총합으로 봤고, 각각의 직군은 고유한 에토스(ethos)를 조성한다고 믿었다. 중세 서구사회는 이런 직군 체계를 로마 원정군 단위 체계의 일종인 ‘ordines (질서)‘에서 따온 orders(편제 또는 계층)‘라고 불렀다. 인도에서는 이미 ‘카스트 (castes)‘라는 단어로 직군 체계를 명명하고 있었다. - P14

그렇다면 주요 카스트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근대 이전 농경사회의 여러 사상가들은 다음 네 가지를 대표적 카스트로 꼽았다. 현인 · 사제(sages/priests), 지배자 - 전사(rulers/warriors), 그리고 상인(merchants)과 소작농(peasants)이다. 물론 여기에 덧붙이거나 빼는 경우도 있었다. 

서구 기독교 사회에서는 세 유형으로 나누는 경우가 더 흔했다. 즉, 기도하는 사람들(oratores), 싸우는 사람들(bellatores), 일하는 사람들(laboratores)이었다. 당시 사람들 대부분은 아버지와 선조들의 직업을 따랐기 때문에 직업이 외부인에게 닫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즉,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신들의 직군에 속하고 그에 맞는 관습과 에토스 속에서 성장했다.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