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상인이 지배하는가 - 권력의 역사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
데이비드 프리스틀랜드 지음, 이유영 옮김 / 원더박스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가치, 이해관계 그리고 직업
- 마르크스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역사의 동력, 후쿠야마는 가치체계의 차이.
- 직업 층위에서 둘은 결합된다.
- 직업, 직종의 차이와 대립과 연합으로 세계사를 서술할 수 있다.



논의에 앞서 역사적 변화를 추동하는 동력에 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해 마르크스와 후쿠야마는 스펙트럼의 양극단에 있다. 마르크스는 역사 변화의 원동력이 경제적 이익집단 또는 ‘계급‘이라고 봤으나, 후쿠야마는 근대를 끌고 온 원동력이 ‘상이한 이데올로기 간의 갈등‘이라고 봤다 - P12

하지만 가치 체계와 경제적 이해관계를 싹둑 잘라 나누는 접근은 적절하지 않다. 우리가 양자 모두로부터 동기를 부여받으며, 우리의 경제적 이해관계와 가치는 직업이라는 일상의 메커니즘에서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 P13

 투자은행 분야에 종사하며 사회주의자가 되기가 쉽지 않은 것처럼, 지역 사회복지 부서에서 일하며 자유시장주의자가 되기는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동료와 잘 지내고 승진의 사다리를 타고 높은 지위에 오르기를 바란다면 종사하고 있는 일터의 기본적 가치들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를테면 일터의 관습과 행동양식, 또는 프랑스 사상가 피에르 부르디외가 명명한 ‘아비튀스(habitus)‘ 같은 것들이 기본적 가치들이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