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화백회의와 로마 원로원의 공통점


신라에서는 왕이 간절히 바랐던 불교가 왜 이렇게도 힘들게 공인됐을까?

그 이유는 우선 신라가 왕권국가로서의 틀을 갖추지 못하고 귀족들의 권력이 막강했던 데 있다. 12개 소국의 연합국가였던 신라는 귀족회의인 화백회의에서 주요 국사를 결정하고, 골품제라는 신분제를 두어 지배층의 지분을 나눠줘야 할 정도로 귀족의 권한이 막강했다. ........
귀족들의 하층민 지배 근거는 바로 자신들이 하늘신의 자손이라는 ‘무속적’ 성격에 있었던 것이다. -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최용범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G9k3WfaXEB1t5A7TA



신라는 남녀차별이 거의 없을 만큼 여성의 지위가 어느 시대보다 높았다. 여자도 상속권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경제권도 쥐고 있었다. 여성이 자신의 이름으로 절에 시주를 한 기록도 나온다. 또한 혼인을 하더라도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남편의 지위와는 별도로 계속해서 보장되었다. 신라는 고대 모계사회의 전통이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 오랫동안 남아 있었는데, 이는 두 나라보다 늦게 유교문화를 수용한 덕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