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음
경계음을 내는 행위는 적어도 처음에는 이타적 행위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포식자의 주의가 경계음을 내는 개체에게 향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26256
경계음은 발신 지점을 알아차리기 힘들게 하는 물리적인 특성을 이상적으로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포식자가 발신 지점에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소리를 음향 기술자에게 의뢰해 만들었다면, 그 소리는 소형 명금류의 실제 경계음과 아주 닮은 것이 될 것이다. -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262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