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혜주의 사회의 이런 자기단속적인 특성은 누구나 다른 사람들, 심지어 앞으로 결코 함께 상호작용을 하게 되지 않을 사람들에게까지 호혜주의를 가르치고 싶은 개인적 동기를 추가로 갖게 한다. 사람들이 함께 상호작용을 할 사람들에게 호혜주의를 가르치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하다.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를 맺고 싶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 함께 상호작용할 일이 없을 사람들이 호혜주의를 쓰는 것도 나에게 이득이 된다. 상대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처벌받음으로써 집단 전체의 치안 상태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 이런 과정을 통해서 미래에 만나 상호작용을 할 비협력적 개인들이 줄어들게 된다. - P168
한 교육심리학자가 팃포탯 전략의 장점에 대해 듣고는, 학교에서 호혜주의에 관한 교육을 하라고 추천했다는 사실은 전혀 놀랍지 않다.
Calfee, Robert. 1981.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Practice." InD.C. Berliner, ed.,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3-73.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P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