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노보와 인간의 차이

타자에게 친절한 우리 종의 특성은 보노보와 일치하지만, 사람의 경우 이 친절함은 특정 타인에게만 해당된다. 우리는 집단 정체성을 토대로 타인을 판단한다. 자신이 속한 집단을 향한 사랑이 정체성이 다른 타인에 대해서는 두려움과 공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는 수렵채집인에 관한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한다. 학자들이 연구했던 수렵채집 부족들은 예외 없이 자신의 집단을 보호하기 위해서 외집단을 선제적으로 습격했다. 이들 집단에서는 무력 습격에 의한 사망이 성인들의 사인 중 가장 비중이 높았다.32,33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브라이언헤어,버네사우즈 / 이민아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J7F2DjVUVqRw6fQG9

침팬지의 협력이 공포와 폭압에 의해 강제된 것이라면 수렵채집인들의 협력은 모두에게 보상으로 돌아갔다. 서로를 제압하기 위해서 힘을 합치는 침팬지와 달리 수렵채집인들은 개인이 집단을 지배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공격성을 이용했다. 사람 사회에서 지배력을 선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권력 장악을 막기 위한 용도로 공격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30,43 나눔, 관용, 협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브라이언헤어,버네사우즈 / 이민아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ECcFaVFYeV5U7QoR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