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드라시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
자기네가 당했던 부당한 억압의 역사는 분명하게 드러내면서도 이중제국 시절 크로아티아를 비롯한 발칸 민족들의 독립투쟁을 오스트리아와 손잡고 짓밟은 일이나 영토를 회복하려는 욕심에 나치 독일과 손잡았던 사실은 입에 올리지 않는다. 개인이든 집단이든, 과거사를 일관성 있는 태도로 소화해 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 <유럽 도시 기행 2>,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nN72xv3e4TcayLmYA
다민족국가였던 오스트리아에서는 헝가리인, 이탈리아인, 폴란드인이 잇따라 봉기해 독립을 요구했다. 특히 헝가리 왕국에서는 코슈트 러요시가 독립선언과 함께 공화정을 선포하였고 헝가리 독립군은 오스트리아군과 황제에 충성하는 크로아티아 왕국[2] 총독 요시프 옐라치치의 군대를 무찌르고 헝가리 전역을 장악했다(나무위키)
언드라시(Andrássy Gyula, 1823-1890)는 오늘날 슬로바키아공화국에 속하는 곳에서 태어났다. 자유주의 성향을 가진 백작의 아들이었던 그는 소년 시절부터 민족주의 정치 운동에 참여했고 세체니 이슈트반의 눈에 들어 스물세 살에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1848년 귀족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크로아티아 영토전쟁에 종군했으며 헝가리혁명 정부의 명에 따라 이스탄불로 파견되어 오스만제국 정부의 협력을 끌어내려고 했다. - <유럽 도시 기행 2>,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bYMa5sSsjP2hv5766
런던과 파리에서 십 년 망명 생활을 하면서 유럽의 정세와 사회 변화를 연구하고 외교를 공부한 끝에 언드라시는 정치적 급진주의와 결별하고 1858년 헝가리로 돌아왔다 - <유럽 도시 기행 2>,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uGtyAaBUywYABoKr6
합스부르크제국을 헝가리왕국과 오스트리아왕국으로 분할하되 두 왕국의 왕을 요제프 황제가 겸직하고 헝가리의 내치는 총리를 따로 지명해 맡기는 방안이었다. 1867년 대타협이 성립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이 출범했고 언드라시는 헝가리왕국의 총리직과 제국의 외무장관 자리를 받았다. - <유럽 도시 기행 2>, 유시민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5yV4QVkhfjUSGK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