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와 지정학다시 중국이 부상하면서 동아시아에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세력균형은 갈림길에 서 있다. 중국의 부상을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세력균형의 위기라고 봐서는 안 된다. 이는 소련의 붕괴로 기우뚱해졌던 서방 해양세력 대 유라시아 대륙세력의 세력균형 회복으로 봐야 한다. 그래야 한반도의 안정적 미래가 보인다. 핵 개발을 놓고 중국과 북한은 갈등하지만, 중국의 부상은 기본적으로 북한의 안보를 담보한다. - <지정학의 포로들> 중에서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11564한반도의 지정학은 먼저 이 분단 체제를 인정하는 현실주의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상은 분단 체제의 극복이나, 현실은 그 관리가 돼야 한다. 이는 분단 체제가 주변 열강의 세력균형 차원에서 성립된 것을 인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현재 분단 체제와 주변 열강의 세력균형은 연계된 것이다.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 통일해야 한다’는 진보 진영의 민족통일론이나, ‘북한은 공산주의이기 때문에 흡수통일해야 한다’는 보수 진영의 반공통일론은 위험한 이상주의이다. - <지정학의 포로들> 중에서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11564서독이 동독을 흡수통일한 독일 통일은 한반도의 모델이 될 수 없다. 독일의 통일은 기본적으로 유럽 최강대국인 자신들의 지정적 위상을 회복한 것뿐이다. - <지정학의 포로들> 중에서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11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