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정책에서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국가의 정책, 특히 대외정책 성공 여부는 상황에 따라 현실주의와 이상주의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에 달려 있다. 공동의 가치가 없는 지나친 현실주의는 국가 사이의 갈등과 분쟁으로 귀결될 소지가 크고, 지나친 이상주의 역시 상대와의 협상과 타협을 불가능하게 하며 참극으로 끝난 것을 역사는 보여준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영국 역사학자 에드워드 핼릿 카Edward Hallett Carr는 현실주의 정치학의 한 고전인 《20년의 위기The Twenty Year’s Crisis, 1919 ~1939》에서 2차대전은 이상주의가 빚어낸 참극이라고 결론 냈다. 각국의 현실적 힘에 입각하지 않고 가치에만 기댄 공허한 국제 체제가 2차대전을 불렀다는 것이다.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한국의 보수와 진보 진영은 모두 이상주의자들이다. 특히 북한 문제에서는 거의 100% 이상주의자들이다. 북한을 기본적으로 박멸해야 한다거나, 같은 민족이니 무조건 껴안아서 통일을 이뤄야 한다는 이상주의자들이다. 각 진영 내에서도 편차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그렇다. 그런데 북한을 우리를 위협하는 적이나 같이 살아야 할 민족 어느 한쪽이 아닌, 생존과 국익을 챙기기 위해 몸부림치는 집단으로 볼 수 없을까? - < 지정학의 포로들, 정의길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