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카와 준페이의 인간의 조건에서 주인공 가지는 만주 광산의 엔지니어였다.

만주국은 유일한 탈출구였다. 많은 좌익 이상주의자들에게 만주국은놀이터였다. 그들은 자신이 아시아 국민들을 개혁하고 근대화하는 것을돕는다는 취지로 철도회사의 연구원이나 고문으로 종사하였다. 식민지라는 모델은 대중의 저항 없이 실험할 수 있다는 대단한 이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만주국과 대만은 건축가들과 기술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이었다. 물론 ‘진보적인 사회과학자들을 위한 영역도 있었다.  - P114

일본인 소설가와 수필가들이 만주국으로 몰려와 그 놀랄 만한 근대성,
다롄의 멋진 공원, 국제 도시 하얼빈의 밤 풍광에 관해 마치 기차가 달리는 것 같은 속도로 써댔다. 몇몇 최고의 영화 제작자는 만주 영화스튜디오에서 일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아시아 형제들을 돕고 있는 용감한 일본인 개척자들에 관한 영화를 만들기 위해 최첨단의 시설을 제공받았다. 이예술가들과 작가들 중 많은 이들이 마르크스주의자였다. 그들은 사상적으로 반자본주의이자 반서구주의 성향을 띠고 있었다. 범아시아주의는 그들의 이상주의적 감정에 호소했다 그들은 사회주의에서 민족 사회주의로 브랜드를 바꾸기만 하면 됐다 - P114

일본의 고집스러운 반체제 인사들에게는 또 다른 선택이 있었다. 그것은 약간 무력적인 탄압과도 관계가 있었지만, 대개는 친구나 가족들의 압력, 또는 반대 때문에 생기는 옅은 고립감이 더 그런 선택을 하도록 했다.
그 선택은 바로 ‘전향‘이었다. 그러나 적어도 공산주의 작가였던 고바야시 다키지 같은 이는 정치적 신념의 포기를 거부하고 1933년에고문으로 감옥에서 죽었다.
그러나 이런 잔혹함은 그리 흔히 전개되지는 않았다. 1930년대 초 정치적 이유로 감옥에 간 거의 모든 좌익 인사들은 고문당하지 않기 위해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전향했다‘ - 말하자면 그들은 마르크스주의를 다시선동하지 않겠다고 서약했다. 그들은 경찰의 협박으로 스파이 활동을 하거나 이웃들에게 ‘빨갱이‘라고 비난받긴 했어도 서약을 하면 대부분이 풀려났고 더 이상곤경에 처하지 않았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