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쉬르가 수립한 구조언어학은 여전히 하나하나의 언어계통을 연구 단위로 삼는다. 그러나 야콥슨에 이르러 연구 방식이 보다 확대되었다. 그는 한 언어계통의 구조를 탐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비교 대조와 직관을 통해 모든 언어계통을 관통하는 공통 구조를 암시했다 - < 슬픈 열대를 읽다, 양자오 지음, 박민호 옮김 > 중에서

야콥슨은 이러한 계통 간의 구분을 무시하기 시작하면서 서로 다른 계통 사이의 공통된 현상에 주목했다. - < 슬픈 열대를 읽다, 양자오 지음, 박민호 옮김 > 중에서

나아가 노엄 촘스키는 언어의 구조가 선천적으로 내재한다고 주장한다. 모든 언어가 관계 구조를 지니는데, 각 언어의 관계 구조는 서로 대단한 유사성과 중첩성을 지닌다. 또한 언어의 근본 구조는 단지 하나일 뿐으로, 모든 인류는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그것을 갖고 있다. - < 슬픈 열대를 읽다, 양자오 지음, 박민호 옮김 > 중에서

8개월의 여정이 끝난 뒤 그는 더 이상 그처럼 고된 방식으로 인류학을 연구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보다 중요한 구조를 탐구하는 데는 현존하는 자료만으로 족했다. 그 이상 인류 문화를 기록하는 것은 의미 없는 일이다. 그것은 인류학의 진정한 임무가 아니다. 인류학자는 그저 외딴 지역의 자극이 자기 문화에도 그것과 유사한 구조가 있음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체득하면 된다. 기이하고 다채로우며 우리에게 익숙지 않은 현상과 우리에게 낯익고 우리가 보고도 못 본 체했던 현상은 동일한 구조의 논리를 따른다. 그러므로 진정 신선하고 특별한 발견이란 바로 구조의 발견이다. - < 슬픈 열대를 읽다, 양자오 지음, 박민호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