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천황의 독특한
- 이름만 있고 성이 없다
- 역성혁명이 불가하다^^

혁명은 원래 ‘역성혁명易姓革命’의 준말로 왕조를 교체한다는 뜻이다. 군주가 덕이 부족하여 세상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할 때에는 천명天命이 그 왕조를 떠나 다른 가문으로 옮긴다는 천명사상이다. 임금의 성을 바꾸는 변혁, 즉 신라 김씨에서 고려 왕씨로, 고려 왕씨에서 조선 이씨로 천명이 옮겨가는 것이다. 무시무시한 사상이다. 이게 혁명이다.
그런데 일본은 어떤가. 역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6세기 이후로는 한 번도 왕조가 바뀐 적이 없다. 법흥왕이나 진흥왕이 신라 임금이었던 시절에 일본에서 왕 노릇하던 그 집안이 지금도 왕이다. -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93187


천황에겐 성이 없다. 히로히토, 아키히토, 그리고 지금 천황은 나루히토로 이름만 있다. 그러니 사실 역성易姓할래야 할 수도 없다. 우리는 김수로왕, 고주몽 등 아무리 왕이라도 성이 있다. 물론 천황 빼놓고 나머지 백성에게는 모두 성이 있다. 이 성들은 다 천황이 하사한 것이(라고 간주된)다. 사성賜姓이다. 그러니까 천황과 나머지 일본인은 차원이 다른 존재다. 조선의 왕이나 고려의 왕이라는 것은 왕이긴 하지만 크게 보면 수많은 성을 가진 사람들(백성百姓) 중의 최고 우두머리에 불과하다. 사대부의 예를 왕도 따라야 한다. 그러나 일본의 천황은 구름 위의 존재다. 인간이되 인간이 아닌 존재다. 그러니 일본제국 시대에 ‘현인신現人神’이라고 해서 천황을 살아 있는 신으로 여기며 젊은이들을 가미가제로 내모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931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