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2월, 한국에서 김영삼 정부가 출범하자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 간의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당시 한일 양국 모두 ‘위안부‘ 문제는 정치적으로 큰 부담이었다. 김영삼 대통령은 최초의 문민 대통령이라는 큰 자부심을 갖고 있었고, ‘역사 바로 세우기‘를 국정 운영의 전면에 내세웠다. 국내적으로는 군부의 통치유산을 제거하는 것이, 한일관계에서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였다. - P132

한편 일본 사회당은 일본이 전쟁 책임에서 완전하게 벗어나는 유일한 방법은 전쟁 피해에 대한 완전한 청산이라고 판단했다. 그리고 전쟁 책임이 남아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 일본군‘위안부‘ 문제였다.
일본 사회당 소속 의원들은 국회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대한 지속적인 질의를 통해 자민당 정권을 압박했다. 1990년대들어 자민당의 국내 지지기반이 흔들렸고, 사회당과 연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내몰렸다. 자민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작극적인 사회당의 지지가 필요했다. - P1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