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Trust - 신뢰는 시장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벤저민 호 지음, 조용빈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면에 경제학자는 단순하고 구체적인 정의를 선호하며, 사용하는 신뢰 모델도 단순하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는 1995년 조이스 버그Joyce Berg, 존 디코트John Dickhaut, 케빈 매케이브Kevin McCabe가 고안한 ‘신뢰게임trust game’에서 나타나는 행동 유형이 신뢰와 관련된 모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실험은 ‘투자자’와 ‘기업가’가 벌이는 게임 형식으로 되어 있다. 투자자는 보통 10달러 정도의 투자금으로 시작하며, 상대편인 기업가는 투자금을 불리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투자자는 안전한 곳에 투자해서 원금을 지킬 수도 있고, 아니면 기업가에게 투자금을 맡겨 투자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을 창출한다(보통 3배의 이익을 창출하니 10달러를 투자한다면 30달러를 버는 셈이다). 기업가는 투자자와 이익금을 나눠 신뢰성을 보일 수도 있고 이익금을 가지고 도주해서 신뢰성이 없음을 보일 수도 있다.
이 신뢰게임은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 신뢰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는 주요 특징을 보여준다. 이 게임은 두 당사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두 당사자는 관계를 맺음으로써 물질적 이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일정 수준의 위험도 내포한다. 투자자(신뢰자)는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리스크를 무릅쓰고 기업가(피신뢰자)에게 돈을 맡겨 물질적인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투자자는 피신뢰자의 평판에 근거하여 결정을 한다. 그의 평판은 피신뢰자가 신뢰자와 가치관이 같으며 상호이익이 되는 모험에 동참할 수 있는 믿을 만한 사람임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