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적으로 거래는 위험하고 신뢰 없이 할 수 없었다. 강도 때문에 몸에 돈을 지니고 다니지 않았으며 지불은 장이 끝날 때 이루어졌다. 선불금이 모자라면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상품을 먼저 인수받고 지불은 다음에(보통 다음 장이 설 때) 하기로 약속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도받은 상품을 고국으로 가져가 판매하고 다음 장이 설 때 미지불금을 지급하는 구조였다. 여기에 내포된 위험은 운송에 걸리는 시간이다. 계약 체결 후 상품과 대금을 맞바꾸기 전까지 계약을 어길 기회는 많다. 판매자가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구매자를 만날 수도 있다. 또는 구매자가 대금을 ‘분실’할 가능성도 있다. 판매자가 질 낮은 상품으로 바꿔칠 수도 있다.60
상인들이 샹파뉴에 모인 이유는 많은 무역로의 중심지라는 편리한 위치도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신뢰를 쉽게 정착시킬 수 있는 제도가 거기에 있었기 때문이다. - < 트러스트 Trust, 벤저민 호 / 조용빈 > 중에서

내시 균형의 최종 목적은 구성원들의 자발적 규칙 준수다. 규칙을 어겼을 때 경찰이 나를 투옥한다면 규칙을 준수할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나를 잡아넣을 경찰이 없는데도 규칙을 잘 지키고 정직하게 행동한다면 그것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재판관이 있지만 이들이 왜 공정한가라는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상인들이 제재에 참여하기는 하지만 그렇게 하는 데 비용이 든다면 꼭 그럴 필요가 있는지, 왜 제재를 받아야 하는 상인만 제재를 하는지 하는 문제가 생긴다. 밀그럼 팀은 내시 균형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 - < 트러스트 Trust, 벤저민 호 / 조용빈 > 중에서

개인적 친분관계로부터 샹파뉴 시장 같은 시스템으로 신뢰의 기본이 바뀐 이유 중 하나는 거래에 따른 위험성과 취약성이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는 당시의 당사자에게는 좋을지 모르나, 신뢰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후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모순은 정부처럼 공공성을 갖춘 제도가 발전하면 더욱 커진다. 안정적인 제도가 신뢰에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제도가 너무 강력하면 신뢰의 구축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 다음에서 신뢰와 법률의 갈등을 조명해보자. - < 트러스트 Trust, 벤저민 호 / 조용빈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