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폴라니, 반反경제의 경제학 - 경제계산과 자연주의 신화
구본우 지음 / 비르투출판사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대체로 인간의 경제는 사회적 관계 속에 묻혀 있었다. 이때 인간은 물질적 재화를 소유하여 개인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행동하지 않는다. 인간은 사회적 지위, 사회적 요구, 사회적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행동한다. 이 목적에 기여하는 물질적 재화들에만 높은 가치를 매긴다. 생산과정도 분배 과정도 재화의 소유와 관련된 특수한 경제적 이익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경제 체계는 비경제적 동기에 기초하여 작용할 것이다. (폴라니 거대한 전환) - P206

"사회의 형태 전환은 사회 구성원들의 행위 동기가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존이라는 동기가 이익이라는 동기로 대체된다. 모든 거래는 화폐 거래가 되고 다시 교환의 매개 수단이 모든 산업적 삶의 마디마디에 도입된다. 모든 소득은 이러저러한 판매를 통해 얻어진다. 인간 소득의 실질적 원천이 무엇이건 간에 소득은 판매의 결과라고 간주된다. ‘시장 체계‘ 는 그 단순한 말 한마디에 이러한 전환들을 함축하고 있다."(Polanyi, 1957c:41) - P207

이제 이 시장 체계가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스스로를 효과적으로 보호할수 있다면 경제는 사회로부터 일정한 독립성을 획득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 이른바 "경제적 요소는 사회의 존속에 매우 중요한 것이므로 일단 경제 체계가 특수한 동기들을 바탕으로 특별한 지위를 획득하여 독립된 제도들로 조직되면, 사회는 경제 체계가 독자적인 법칙에 따라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형성"(Polanyi, 1957c:57)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장이 자기 조정적으로 작동한다면 그 자신의존속을 위해서조차 시장을 필요로 하는 사회는 스스로를 시장의 움직임에맞추어나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경제가 사회로부터 독립된다는 것은 단지 경제가 자기 자신의 영토를 보존하면서 주권적 독립을 지킨다는 말이아니라 "사회적 제 관계가 경제 체계 속에 묻어 들어가는 상태를 말하게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폴라니가 말하는 ‘시장 사회‘ 혹은 ‘시장 패턴‘ 의의미다. - P2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