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을 (산업) 부문별로 이루어지는 국가적 사업으로만 보면, 일본과 같은 고임금 국가에서 (비숙련 노동으로 생산되는) 의류와 같은 (산업) 부문은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써야 했다. 어쨌든 일본의 비교우위는 첨단기술 부문에 있으니까. 안 그런가? 첫 번째 분리 시기였다면 일본 기업은 의류 (산업)부문에서 빠져나와 첨단기술 부문으로 가야 했다.
현재 아시아 최대 의류 회사로 자리 잡은 유니클로는 너무 뻔한 도구로는 전통적인 정신 모형을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음을 보여준다. 더 정확히 말하면, 남성용 내복이 비숙련 노동집약적 결과물이라는 논리가 두 번째로 분리되는 세계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제조업’이라는 단어를 공장이라는 뜻으로 쓴다면, 유니클로는 일본 제조업 부문의 성공 사례가 아니라 서비스 부문의 성공 사례다.
단연코 유니클로의 성공은 시장조사의 승리다. 유니클로는 연구개발R&D 센터를 도쿄와 뉴욕에 두고 있는데, 매장에서는 물론 고객에게서 시장 동향과 생활양식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공전의 화제를 모은 상품 중 하나인 히트텍 직물로 만든 발열내의에는 유니클로의 마케팅 지식과 기존 일본 제조업체 토레이Toray Industries의 기술이 결합해 있다. 소비자의 욕망을 꿰뚫어 본 유니클로의 통찰과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한 토레이의 기술이 결합해서,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통해 결국에는 소비자들이 열광하는 독특한 직물을 탄생시켰다.
유니클로는 또한 업무 조정력, 품질 관리, 물류 관리의 승리다. 중국 등지에 있는 제조업체로부터 직거래 대량 구매를 함으로써, 아무것도 직접 생산하지 않고서 저비용으로 고급제품을 얻는다. 기술 전문가들로 구성된 유니클로의 타쿠미 팀Takumi Team은 중국에 있는 협력 공장과 협업한다. 그들은 중국의 공장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기술을 교육하고, 경험을 공유하며, 품질과 생산의 적시성을 확인한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