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분리로 생산의 국경이 다시 그어지면서 비교우위의 국적도 사라졌다. 말하자면, 1차 세계화 시기에는 경쟁의 최전선을 국경으로 생각하는 편이 가장 좋았다. 예를 들어, 독일제 자동차는 일본제 자동차와 경쟁했다. 2차 세계화 시기에는 경쟁의 최전선(글로벌 가치사슬GVC)이 여러 국가에 걸쳐 있는 생산 네트워크 사이에 있었다. 이를 한 나라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2차 세계화는 각국이 기존 역량을 활용할 기회라기보다 새로운 역량으로 바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적합한 사례로, 일본에 운송 부품을 수출하는 베트남 기업을 들 수 있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두 번째 분리로 인해 베트남의 비교우위가 강화된 것이 아니라 바뀌었다는 것이다. 베트남은 오토바이 부품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옮겨갔다. 이 공중제비 묘기가 벌어진 이유는 일본이 보유한 비교우위의 원천 중 하나인 전문지식이 국경 너머로 이동해, 베트남이 보유한 비교우위의 원천 중 하나인 저임금과 결합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BMW라는 독일의 경쟁자를 상대하는 혼다의 경쟁력도 개선되었다. BMW는 인도에서 부품을 공급받는다. 이런 의미에서, 베트남과 인도 기업이 안정된 부품 공급업체로 전환하는 데 필수적이었던 전문지식의 해외이전은 경쟁의 지리적 경계를 효율적으로 옮겨놓았다. 이제 경쟁은 일본 대 독일이 아니라, 혼다가 주도하는 GVC(글로벌 가치사슬) 대 BMW가 주도하는 GVC 간에 벌어진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두 번째 분리에 저항하려는 시도는 백해무익할뿐더러 오히려 역효과를 낳기도 한다는 점이다. 생산의 국제적 재편을 금지하려는 선진국은, 저항해봤자 산업의 공동화가 사라지기는커녕 오히려 빨라진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선진국의 경쟁력이 ‘파급spillover’되어 개발도상국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중국은 글로벌 가치사슬 혁명을 완전히 받아들였다. 이를테면 전기차를 만들되, 일본의 전문지식과 중국의 노동력을 조합해서 만드는 식이다. 이에 반해, 브라질은 생산의 새로운 국제화에 한 발도 들여놓지 않았다. 그래서 전기차를 만들되, 브라질의 전문지식과 브라질의 노동력으로 만든다. 결과적으로, 브라질의 전기차 생산업체는 중국 수출품과 경쟁하기 위해 허우적거린다. 어쨌든 저임금과 결합한 첨단기술은 저임금과 결합한 저급한 기술을 능가한다. 글로벌 가치사슬 추세에 저항하려는 개발도상국 정책은 산업화에 도움을 주기는커녕 오히려 타격을 줄 수 있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