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결과를 해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정치사政治史로 방향을 틀어 식민정책과 제국주의 탓으로 돌리는 일이다. 화약이 발명된 곳은 중국이지만, 군사적으로 사용된 곳은 유럽이었다. 화약 사용법은 수 세기에 걸친 유럽 내 전쟁을 통해 크게 발전했다. 대항해 시대가 도래했을 때 이미 유럽의 군사기술은 중국을 훨씬 앞섰으며, 그 후 몇 세기 동안 격차는 점점 벌어졌다. 유럽은 총을 사용해 A7을 식민지로 삼았으며 그 나라들의 산업을 억제했다. 이렇게 정치사의 관점에서 경제 현상을 해석하는 방식에도 일리가 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 독립하기 전 식민지 미국에서 완제품 수출은 노골적으로 금지되었지만, 면화나 목재 같은 원자재 수출은 장려되었다. 식민지는 영국에 원자재를 공급하고 영국의 완제품을 사는 곳으로 간주되었다. 비슷한 이유로, 영국 숙련 노동자의 이주와 영국 섬유기계의 수출은 영국의 법령으로 금지되었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