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감정론과 뇌과학이 연결된다는 내 추측이 맞았다. 이 책을 도메 교수가 쓰게 된 계기 중 하나가 뇌과학자들과의 교류였음이 저자 후기에 적혀있다.

거울뉴런과 마음이론에 대해서는 리버만의 사회적 뇌에 잘 설명되어 있다.

공감에 대한 뇌과학적 성과는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으로 연결되기도 하지만 폴라니의 사상으로도 연결되고 마르크스의 사상으로 연결되기도 할 것이다. 반면 이기적 개인의 유토피아 사상은 공감하는 뇌와 양립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 5년에 걸쳐 애덤스미스와 격투를 벌이며, 나의 해석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해보고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구상이 구체화된 것은 2006년 12월이었다. 그때 오사카대학교 사회경제연구소 사이조 다쓰요시 교수의 권유로 ‘두뇌 활용‘ 연구회의 ‘두뇌 읽기‘ 분과연구회에 참가하여 ‘경제와 윤리-애덤 스미스의 인간관‘ 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연구회에 참여한 많은 뇌과학자들은 애덤 스미스의 ‘동감‘ 이나 ‘공평한 관찰자‘의 개념에 놀라는 듯했다. 이러한 개념은 현대의 뇌과학에서 미러뉴런(Mirror Neurons, 타인의 행동을 자신의 행동처럼 느끼게 하는 신경세포)이나 마인드 이론(Theory of Mind, 타인의 행동에서 심리를 추측하는능력) 등의 분야와도 관련이 있어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이 뇌과학에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해주지 않을까 생각했다. - P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