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아 철학의 현자와 아담 스미스의 현자의 차이에 주목하라. 현실적이다.

자기통제와 자기기만의 대조도 눈여겨 봐 두자.

이처럼 제1심과 제2심의 판결이 서로 다른 경우에 지혜로운 사람과 연약한 사람이 취하는 태도는 정반대다. 그러나 둘이 일치하 - P61

는 경우가 하나 있다. 그것은 비난당할 만한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세상에서 비난을 받는 경우다. 전형적인 예로 누명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연약한 사람은 당연히 세상의 비난을 괴로워할 것이다. 그럼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속 공평한 관찰자의 목소리, ‘당신은 무죄다‘는 목소리를 듣고 평정을 지킬 수 있느냐 하면 그렇지 않다. 애덤 스미스에 따르면,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지라도 근거 없는 비난에 대해서는 동요한다. 근거 없는 칭찬은 무시할 수 있어도, 근거 없는 비난은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 P62

애덤 스미스가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 스토아 철학에서현자(賢者)는 모든 상황에서 부동심을 유지하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스토아학파가 생각하는 현자는 근거 없는 비난에 대해 아무런 괴로움을 느끼지 않고, 그것 역시 운명이라고 체념한다.  - P62

 우리 속의 현명함은 자기규제 (self-command)에 의해 공평한 관찰자가 인정하도록 행동하려 하는 것이다. 거꾸로, 우리 속의 연약함은 세간의 평가를 걱정할뿐더러 자기기만(self-deceit)에 의해 공평한 관찰자의 인정과 부정을 무시하려 한다. - P63

인간은 이해관계, 변덕, 열광 등 때문에 마음속 공평한 관찰자의목소리를 무시하고, 자기기만에 의해 자신의 욕망과 의향을 정당화하려 할 때가 있다. 인간은 한편으론 마음속 공평한 관찰자의 목소리에 따르려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무시하려 하는 모순된 존재인 것이다.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