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연구는 이런 의문을 푸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사람들이 마지못해 규범대로 행동할 때와 진심으로 원해서 행동할 때 뇌의 모습이 어떻게 다른지 어느 정도 알고 있다. 즉 첫번째 경우에는 전전두피질의 외측 부위가 (다시 말해 우리의 욕망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는 반면에, 두 번째 경우에는 복측 선조 같은 뇌의 보상체계가 활성화된다.
에모리대학교Emory University의 신경과학자이자 인류학자인 제임스 릴링 James Rilling 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해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하는 사람들이 협력 또는 배신을 선택할 때 그들의 마음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들여다보았다. - P131
상대방이 협력을 선택한 상황에서 실험 참가자가 배신 대신 협력을 선택했을 때 그의 복측 선조에서 더 많은 활동이 관찰되었다. 이는 이들의 금전적 수익이 줄어드는데도 보상체계가 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때 복측 선조는 실험 참가자 자신의 수익보다 게임을 벌인 두 사람 모두의 수익 총액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처럼 보였다.
나아가 실험 참가자들이 협력을 선택했을 때 외측 전전두 부위의 특별한 활동은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피험자들의 협력이 의무감 때문에 억지로 이루어졌다기보다 진심으로 원해서 이루어진 것임을 시사한다. - P132
우리가 때때로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까닭은 결국 우리 자신에게 더 나은 결과가 돌아올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인간 본성에 대한 이런 이론이 잘못되었음을 위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이런 이론은 우리가 잘 아는 이기적인 동기 외에도 사회적 동기가 우리 본성의 중요한 일부를 이룬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상호 협력이 우리의 보상체계를 활성화하는 목적 자체라는 점을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133
협력과 자선 행위에 대한신경과학적 연구들은 이타주의에 대한 전형적인 물음(우리는 정말로 이타적인가?)을 무의미하게 만들었으며 다음과 같은 두 질문으로 대체했다. 왜 우리는 이타적 행동을 즐기도록 진화했는가? 왜 우리는 이타적 행동이 내적 보상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을까? 이제 이 두 질문을 차례대로 살펴보기로 하자. - P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