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들은 이런 인지, 운동, 시각 과제 중의 하나를 하고 있지 않을 때 뇌의 어떤 부위가 더 활동적인지 알아보려 했다. 이는 꽤 유별난 질문이었다. 왜냐하면 보통 신경과학자들은 어떤 과제를 수행할 때 ‘켜지는‘, 즉 더 활동적으로 바뀌는 뇌 부위에 관심을 둠으로써 사람들이 그런 과제를 수행할 때 도움을 주는 뇌부위를 찾으려 했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에서 어떤 과제의 수행을 멈추었을 때 더 활동적으로 바뀌는 뇌 부위는 어디인가라는 물음은 무척 놀라운 접근법이었다. 슐먼이 고맙게도 바로 이런 질문을 던진 것이다. 그리고 그는 사람들이 특정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할 때 일관되게 더 활동적으로 바뀌는 몇몇 뇌 부위를 찾아냈다. - P32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지 않을 때 활성화되는 뇌의 기본 신경망이란 사회인지와 관련된, 즉 타인과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능력과 관련된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런 추측이 사실로 판명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는데, 그 까닭은 무엇보다도 사회신경과학자들이 뇌의 이런 기본 신경망에 대해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사람들이 운동 과제의 수행을 멈추었을 때 뇌가 무엇을할까라는 의문은 사회신경과학자들이 보통 관심을 가지는 문제들과는 꽤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러나 사회인지에 대한 연구에서 일관되게 활성화되는 뇌 부위는 이 기본 신경망과 사실상 동일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이 기본 신경망은 자신과 타인에 대해 생각하는 사회인지를 지원하고 있다. - P36
기억이나 추론 같은 인지능력에 일관되게 관여하는 뇌 부위는 주로 뇌의 바깥쪽(또는 옆쪽) 표면에 위치하는 반면(그림 2.3 참조), 타인과 자신에 대한 사고는 주로 뇌의 중앙 부위를 사용한다(그림 2.1 참조)
게다가 사회적 사고와 비사회적 사고를 각각 지원하는 신경망들은 종종 시소의 양 끝처럼 상호 대립적으로 작동한다.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라는 요구를 받지 않은 사람들의 뇌를 살펴보면 사회인지 신경망이 활동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신경망이 활발히 작동할수록 다른 비사회적 과제에 관여하는 일반적인 인지 신경망은 더 잠잠해지는 경향이 있다.마찬가지로 사람들이 비사회적인 사고에 몰두할 때는 일반적인 인지 신경망이 켜지는 반면, 사회인지 신경망은 꺼지는 경향이 있다. - P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