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불평등을 인정하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보입니다.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과의 차이를 인정하고 배려하는 것입니다. 누구나 삶에서 성별과 나이, 질병에 따른 사회적 차별을 겪게 됩니다. 우리가 처한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적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어요. 누군가에게는 원치 않은비만, 우울증, 알코올중독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습니다. 후성유전학은 스트레스, 학대, 가난, 방치와 같은 나쁜 환경이 유전자에 흉터를 남겨서 여러 세대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빈곤층이나 사회적 소외계층은 유전자의 횡포에 휘둘려 자신의 의지로 해결할 수 없는 삶을 살고 있지요. 우리는 ‘능력주의‘로 사회적 약자를 몰아세울 것이 아니라 세상의 불행과 불평등을 고쳐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 P21
당신은 지금 친구가 초콜릿 먹는 것을 보고 있어요. 시각 자체는 초콜릿을 먹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라요. 그런데 당신은 친구의 입가에 번지는 미소를 보면서 그의 만족감까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거울뉴런이 있어서 가능한 일이죠. 뇌의 전운동피질은 자신이 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처럼 공명합니다. 초콜릿 먹는 것을 보는데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맛도 느낄 수 있지요. 이것은 우리가 타인의 행동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뇌를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거울뉴런은 사람들 사이에 다리를 놓으며 우리의 뇌가 너무나도 사회적이고, 우리가 너무나도 사회적 존재라는 것을 보여주지요.
- P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