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민주주의를 읽다 - 우리의 민주주의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유유 서양고전강의 5
양자오 지음, 조필 옮김 / 유유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애의 운명

자유, 평등, 박애에서 박애는 어디로 갔는가? 어째서 자유와 평등만 남고 박애는 제대로 언급조차 되지 않는가?‘
표면적인 해석 중 하나는 박애가 민주주의와 무관하다.
는 것입니다. 그러나 토크빌의 또 다른 명저 『앙시앵 레짐과 프랑스 혁명』을 읽으면 심층적인 해석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대혁명은 박애가 무서운 것임을 증명했다는해석입니다.
- P245

박애를 관철하려는 평등은 원래 형제를 사랑하는 방식으로 모든 사람을 사랑하는 겁니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이렇게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물질적, 정신적 자원이 많지 않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인간에게 이기적인 동기를 없앨 방법은 없으므로 가족을 대하는 사랑을 낮춘, 비교적 쉬운 평등 정도는 되어야 행인을 가족처럼 대할 수 있다는 겁니다.
- P246

토크빌이 명료하게 밝혔듯이, 대혁명의 교훈은 보편적인 사랑인 ‘박애‘를 보편적인 잔혹, 평등한 잔혹으로 왜곡하고 변형시켰다는 것입니다. 인류의 현실적 능력을 뛰어넘는 부분을 없애고 고고한 이상을 평지로 끌어 내리면 평등만이 남아 모든 사람이 같아집니다. 박애는 평등의 변형입니다. 좋은 변형도 아니고 왜곡된 변형입니다. 이 때문에 토크빌은 책에서 자유와 평등에 대해서만 논했습니다. 『미국의 민주주의』 2권을 집필할 때 박애는 이미 모든 빛을 잃었고, 그 긍정적인 가치는 평등에 포함됐습니다.
- P2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